국산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정부 자금으로 1115억원이 확정 편성됐다.
코로나19와 관련한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에도 175억원이 추가로 편성됨에 따라 코로나19와 관련된 정부 지원 예산은 총 1936억원이 투여된다.
복지부는 9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이하 범정부 지원위원회) 제4차 회의를 열고 추가경정예산 집행계획을 공개했다.
먼저 항체 및 혈장 치료제, 백신을 포함한 3대 플랫폼 기술 개발 기업이 진행하는 임상시험에 대해 전주기 지원한다. 확정된 예산은 940억원이다.
치료제 개발에는 450억원이, 백신 개발에는 490억원이 편성됐다.
치료제·백신 후보물질 발굴과 효능·독성평가 등 전임상 지원에는 175억원이 지원된다.
이밖에 ▲방역물품·기기 고도화(357억 원) ▲연구·생산 기반(인프라) 구축(391억 원) ▲인체 데이터 활용여건 조성 및 특허 국제표준화 등 지원(73억 원) 등이 편성됐다.
이번 4차 회의에서는 '국가 감염병임상시험센터' 지정과 관련한 논의가 지정됐는데 감염병 전담병원은 대부분 환자 치료에 집중돼 있어 센터 지정이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임상시험 실시기관 등 주관연구기관과 감염병전담병원 등 세부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공모해 '국가 감염병임상시험센터'를 지정키로 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대책을 발표한 후 한 달여 동안 치료제와 백신 개발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치들을 추진해 왔다"면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갖춘 국산 치료제와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공모기간 단축 등을 통해 추가경정예산 사업을 신속하게 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서는 치료제와 백신 개발이 필수적이며, 지원대책 추진과정의 면밀한 검토와 평가를 통해 보다 세부적이고 현장에 효과가 있는 지원 대책을 실행하는데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코로나19 대응을 계기로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도록 감염병, 의료기기, 바이오 빅데이터, 신약개발 등 바이오 분야 전반에 대해 전략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