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팅 업체인 글로벌데이터의 보고서를 보면 코로나19 약품 후보를 보유한 소형 시총과 중간 시총인 바이오텍과 제약 회사들은 올해 1분기 동안 시총이 평균 20% 증가한 반면, 파이프라인에 코로나19 약품이 없는 회사는 감소를 보였다.
코로나19 약품이 소형 시총 바이오텍과 제약 회사들은 1분기 시총이 19.4% 감소해 최악의 영향을 받았다.코로나19 약품이 없는 초대형과 대형 바이오텍과 제약 회사들은 약품을 보유한 업체에 비해 더 높은 비율의 시총 감소를 보였다.
코로나19 약품이 없는 초대형과 대형 바이오/제약 회사는 1분기 시총이 평균 11% 감소한 반면, 파이프라인에 코로나19 약품을 가진 회사는 평균 7.2% 하락했다.제약 산업의 영향은 세계 증시가 팬데믹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는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제약업계는 같은 기간 50% 이상 감소한 원유 벤치마크 등 다른 산업만큼 큰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고 글로벌데이터가 밝혔다.전체적으로, 톱 20 바이오/제약 회사들은 작년 9% 증가와 대조적으로 올해 1분기 시총이 7.9% 감소했다.
바이엘이 톱10 바이오/제약 회사 가운데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회사의 1분기 시총은 228억 달러로 전분기대비 25% 이상 하락했다.
GSK, 암젠, 화이자, BMS, 머크(MSD)도 각각 15% 이상 하락을 기록했다.리제너론 파마슈티컬과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시총이 10% 이상 증가했고 두 회사는 파이프라인에 코로나19 약품이 있다.

2019년은 BMS, 다케다 등 일부 바이오/제약 회사가 메가 딜로 시총이 크게 상승했다.
BMS의 740억 달러에 세엘진의 인수는 시총 톱 20대 제약사 순위에서 톱10으로 도약하게 했다.
BMS는 11월 세엘진 인수 완료 후 13위에서 6위로 최대 도약을 했다.전체적으로, 16개 기업의 시총이 증가했고, 4개 기업이 두 자릿수 상승했다.
다른 최대 상승 업체 중 2개는 일본 제약사였다.다케다는 작년 1월에 샤이어 인수로 20위에서 17위로 올랐다.
반면 HER2 약품 엔허투(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와 69억 달러 라이선스 합의를 한 다이이찌 산쿄도 3단계 상승한 20위로 현재 애브비에 흡수된 엘러간의 자리를 대체했다.J&J, 로슈, 노바티스가 2019년 시총으로 톱3 제약사였다.
J&J는 1위를 유지했고, 로슈는 한단계 오른 2위에 랭크됐고, 노바티스는 2단계 상승했다.MSD는 4위를 지켰지만 화이자는 톱10 제약사 중 최대 하락한 3단계 떨어져 5위에 올랐다.
순위가 떨어진 다른 업체는 2단계 하락한 애브비와 바이오젠이었다.덴마크 노보노디스크는 핵심 당뇨병 프랜차이즈에서 더 거센 경쟁 환경과 지속된 가격 압박으로 2018년 9위에서 작년 15위로 최대 하락을 했다.
톱 20 기업은 평균 매출 대비 R&D 비율이 19.2%로 R&D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베르텍스 파마슈티컬, 길리어드 사이언스, 릴리는 평균 매출액 대비 R&D 비율이 각각 42.1%, 39.8%, 25.1%로 톱3 였다
베르텍스가 2019년 R&D에 상당한 투자는 2019년 말에 낭포성 섬유증에 3개 약품 복합제 트리카프타(Trikafta, ivacaftor, tezacaftor, elexacaftor)의 예상보다 조기 승인을 받는 성과를 올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