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보건복지부 국감>

분만을 받는 의원급 산부인과 수가 해가 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11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의원급 분만 산부인과 수가 522개에서 371개로 약 29% 감소했다"고 밝혔다.

문 의원에 따르면 연도별 의원급 분만 산부인과 감소 규모는 2011년 35개, 2012년 38개, 2013년 46개, 2014년 32개로, 작년을 제외하고 해마다 증가하고 있었다.

같은 기간 동안 개원한 의원급 산부인과는 251개인데 반해, 폐업한 산부인과의 수는 464개로, 폐업한 산부인과가 213개 더 많았다.

문 의원은 이 같은 분만 의원급 산부인과 감소의 원인으로 과중한 노동량, 낮은 분만수가, 의료사고 및 분쟁 위험성에 대한 부담 및 저출산 현실 등을 꼽았다.

문 의원은 “지역사회에서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의원급 산부인과의 감소는 농어촌 등 의료취약지역의 의료접근성 악화, 고령출산자의 건강 위해 요인 증가, 신생아 집중치료에 필요한 병상 부족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며 “복지부는 안전한 분만 환경 조성과 임산부들의 의료접근성 강화를 위한 구체적 지원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