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사제 도입 논의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제도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지역 의료 인프라와 수련환경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추진을 서두를 경우 제도 효과를 담보하기 어렵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대전협은 "젊은 의사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 없이 지역의사제를 확대하는 것은 현실적 한계가 크다"고 강조했다.
대전협은 입장문을 통해 지역의사제의 목적이 거주지와 상관없이 국민 건강권을 보장하는 데 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고 했다. 그러나 제도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요인으로 '지역 수련 인프라의 부재'를 지목했다.
수도권 집중과 지역 환자 감소 등 복합적인 문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전공의가 전문의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육 환경이 이미 취약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전협은 전공의를 "지도전문의의 지식과 경험을 통해 자라는 어린 나무"에 비유하며 "건강한 숲에서만 나무가 제대로 자랄 수 있듯 지역 의료 인프라가 탄탄해야 젊은 의사가 성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충분한 환자군과 교육 가능한 의료기관, 지도전문의 확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제도 운영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지역 수련병원에서 지도전문의 이탈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했다. 대전협은 현 상황을 "아직 개간되지 않은 황무지에 씨앗을 흩뿌리는 것과 같다"고 표현하며 수련 기반 없이 지역의사제를 확대하는 것은 정책의 근본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대전협은 "미래 의료 인재를 키우기 위한 토대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도를 강행하기보다는, 먼저 지역 지도전문의 확충과 핵심 수련병원 역량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책이 실효성을 얻기 위해서는 젊은 의사들이 제대로 교육받고 뿌리내릴 수 있는 환경이 구축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전협은 "대한민국 미래 의료의 씨앗들이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먼저 밭을 일구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지역 수련환경 개선이 지역의사제 성공의 필수 조건임을 재차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