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윤을식)이 암 치료 분야의 기술 혁신을 이끌 ‘입자치료 거점 구축’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의료원은 최신 사양의 양성자치료기를 도입해 국내 정밀 방사선치료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난치암 치료의 새 전환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입자치료는 양성자나 중이온 등 고에너지 입자를 종양에 직접 조사하는 방식으로, 특히 ‘브래그 피크(Bragg Peak)’ 현상을 활용해 종양 부위에만 에너지를 집중시킨다.
이로 인해 주변 정상조직 손상이 최소화돼 두경부암, 폐암, 간암, 소아암 등과 같이 정상조직 보존이 중요한 암종에서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여 최근 차세대 정밀의료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양성자치료기술은 경량 고출력 가속기 발전으로 정확도와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다. 입자 빔의 세기를 미세하게 조절해 종양의 깊이와 형태에 맞추는 초정밀 조준 치료(IMPT)도 가능해졌다.
고려대의료원은 다년간의 내부 연구·전문가 검토와 해외협력 병원의 사례 분석을 거쳐 최신형 양성자 가속기를 도입하기로 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속 성장형 입자치료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번 입자치료 거점 구축 사업은 단순한 하드웨어 도입이 아니라 정밀의학·임상연구·의료산업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고려대의료원은 AI 기반 치료계획 시스템 개발과 암종별 치료 프로토콜 확립 및 임상 데이터 기반 치료 알고리즘 고도화 등을 추진해 입자치료의 정밀도·안전성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향후 임상 및 기초연구 활성화를 통해 치료 표준화는 물론, 관련 기술의 산업화까지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안암·구로·안산·동탄 제4병원 연계…환자 접근성·효율성 제고
입자치료센터는 고려대의료원 산하 병원들과 긴밀하게 연동된다. 안암·구로·안산병원에 더해 추진 중인 동탄 제4병원까지 연결하는 진료체계를 구축해 암 환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다.
이를 통해 진단–전문치료–추적관리까지 이어지는 환자 중심 정밀치료 체계와 지역 간 치료 접근성 격차 완화, 다학제 협진 기반의 고난도 치료 수행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윤을식 의무부총장은 “입자치료 거점 구축은 고려대학교의료원이 지향하는 미래의학 혁신의 핵심 과제”라며 “양성자치료 중심의 첨단 정밀의료로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고려대병원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암 치료 중심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