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간호조무사협회(회장 곽지연)는 지난 10월 29일 협회 LPN홀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개선 회원간담회’를 개최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현장에서 근무 중인 간호조무사들이 겪는 불합리한 인력 운영과 과중한 업무 전가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전국 임상협의회 김금옥 회장을 비롯해 다수의 현장 간호조무사들이 참석해 실질적인 근무 실태를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간호사·간호조무사·병동지원 인력이 함께 근무하는 병동 내에서 제도 취지에 맞는 명확한 업무 분장이 지켜지지 않아 간호조무사에게 과도한 업무가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간호조무사 1인이 30명 이상 환자를 담당하는 경우가 다수이며, 안내·이송·약품 전달·식사 보조·구강 간호·기저귀 교체 등 대부분의 병동 업무를 도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중증 환자 중심의 병동에서 휠체어 이동 지원, 재활 보조 등 본래 간병 보조 수준을 넘어선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병원 내부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업무 분장 지침이나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현장 혼선이 심각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일부 환자들은 간호조무사를 간병인으로 오인해 언어폭력이나 부당한 요구를 하는 사례도 빈번해, 환자 대상 인식 개선 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근로환경 문제도 논의됐다. 다수의 간호조무사들이 계약직 형태로 2년 단위 재계약을 반복하며 정규직 전환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야간 근무 시 휴게시간이 계약서와 다르게 보장되지 않는 등 근로기준을 위반하는 사례도 보고됐다.
이에 협회는 간담회에서 제기된 현장 의견을 토대로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11월 중 전국 단위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실태조사를 실시해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12월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내 간호조무사 정책 이슈페이퍼’를 발간할 예정이다. 또한 국회 내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해 제도 개선안을 공식 제안하고, 제도 내 간호조무사의 역할 강화와 위상 제고를 위한 정책적 연계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는 “현장의 불합리한 구조를 개선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제도 본래의 취지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책 제안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