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I 생성이미지
사진=AI 생성이미지

미국이 10월부터 특정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브랜드 또는 특허 받은 모든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선언하며 미국 내 생산 투자를 강제하는 초강수를 꺼냈다. 업계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비용 급등과 공급망 혼란, 중소 바이오파마 붕괴 등 부정적 파장은 피할 수 없다는 진단이다.

빅파마, 수십억 달러 美 투자로 '방패'

이번 조치로 미국 내 공장을 보유하거나 건설 중인 제약사들은 관세 면제 혜택을 받는다.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사노피, GSK, 노바티스, 노보 노디스크 등 유럽계 빅파마는 물론 릴리, J&J 등 미국 기업들은 이미 미국 생산 시설 확장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고 있다.

GSK는 5년간 300억 달러, 로슈는 500억 달러, 사노피는 200억 달러를 각각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릴리는 버지니아에 50억 달러 규모의 생산시설을 짓고 있으며, J&J는 향후 4년간 총 550억 달러를 투입한다. 국내에서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등이 미국 현지 투자를 예고했다.

공급망 불안·중소기업 '위기'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2024년 미국 의약품 수입액은 약 2,330억 달러에 달한다. 여전히 유럽과 아시아 공급망에 크게 의존하는 상황에서 관세 충격은 비용 상승과 공급 부족으로 직결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빅파마는 현지 투자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겠지만,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 바이오파마는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며 "일부 기업은 재정난으로 파산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수입 의약품에 대해 최대 250% 관세까지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100% 관세가 '예고편'에 불과하다는 우려가 확산되는 이유다.

업계 전문가들은 "새로운 공장이 가동되기까지는 수년이 걸리며 그 사이 비용 상승과 공급망 혼란은 피할 수 없다"며 "미국 시장 중심의 글로벌 재편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