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I 생성이미지
사진=AI 생성이미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예방접종자문위원회가 코로나19 백신을 누구에게도 권장하지 않고 접종 여부를 개인 판단에 맡기라는 권고안을 확정했다. 새로 꾸려진 위원회가 고령자와 기저질환자에게조차 접종을 권고하지 않으면서 미국 내 백신 정책의 혼란과 불신 확산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CDC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는 지난 19일(현지시간) 투표를 통해 코로나19 백신을 특정 집단에도 권장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자와 고위험군도 예외가 되지 않았으며, 접종 여부는 개인이 의사·간호사·약사와 상담을 거쳐 선택하도록 권고했다.

위원회는 또 CDC 안내문에 코로나19 백신의 위험성 관련 표현을 강화하라고 요구했으나 접종을 의사 처방 필수로 제한하는 안건은 과반 반대로 부결됐다.

이번 권고는 인플루엔자 백신처럼 가을 정기 접종을 권장해 온 기존 방침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회 투여돼 안전성이 확인됐다는 의료계·제약업계의 판단과도 어긋난다.

배경에는 '백신 회의론자'로 불리는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의 정책 기조가 있다. 그는 취임 후 기존 위원 전원을 해임하고 자신과 성향이 비슷한 인사들로 새 위원회를 구성했다. CDC 국장까지 교체하며 백신 정책 전면 재편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혼란과 위험을 경고했다. 폴 오핏 필라델피아아동병원 백신교육센터장은 "좋은 소식은 누구나 접종할 수 있다는 점이지만 나쁜 소식은 고위험군조차 권고에서 빠졌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숀 오리어리 미국소아과학회 감염병위원장은 "백신 불신을 노골적으로 조장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는 미국 아동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비판했다.

CDC는 관례대로 자문위 권고를 수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보험 적용 여부에도 직접 영향을 주게 된다. 일부 주는 이미 연방 지침과 무관하게 자체 백신 권고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건강보험사 단체인 AHIP은 "회원사들이 2026년까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계속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문위는 이번 회의에서 신생아 출생 직후 B형 간염 백신 접종 의무 폐지 여부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전날에는 4세 이전에는 MMRV 혼합백신 대신 MMR(홍역·볼거리·풍진) 백신과 수두 백신을 각각 접종하도록 권고하는 방안을 채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