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수입에 대한 관세 부과와 '최혜국 대우(most-favored-nation, MFN)' 약가 비교 정책 도입을 추진하면서 글로벌 제약사들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책 변화가 빅파마의 수익성에 치명적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투자분석기관 모닝스타는 최근 보고서에서 "트럼프 정부가 구상 중인 약품 관세가 15% 수준으로 설정될 경우, 주요 제약사의 핵심 이익(core profits)에 미치는 타격은 최대 4% 내외에 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정부 차원의 완화 조치와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감안한 수치다.
트럼프 행정부는 약가 인하를 위한 강력한 규제 카드로 약품 수입 관세와 더불어 MFN 제도를 병행 추진하고 있다. MFN 제도는 해외 주요 국가와의 약가 비교를 통해 미국 내 약가를 낮추겠다는 구상으로 제약사들의 글로벌 가격 전략에 직접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다.
다만 모닝스타는 "정책 시행으로 단기적 불확실성은 불가피하지만, 제약사들이 연구개발(R&D) 및 시장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을 통해 중장기적인 영향은 관리 가능한 수준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분석에 대해 "약가 및 관세 규제가 현실화될 경우 기업별 타격은 제품 구성과 시장 노출 정도에 따라 차이가 클 수 있다"면서도 "글로벌 빅파마의 대응력이 워낙 크기 때문에 구조적 위기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을 보였다.
이번 조치가 실제 입법과 시행으로 이어질 경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제약산업의 시장 전략 조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