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전세환)는 27일 서울 코엑스 광장에서 ‘폐건강 체크버스’ 캠페인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인공지능 기반의 흉부 엑스레이 촬영이 가능한 버스를 전국적으로 운영해, 인지하지 못했던 폐 결절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폐암이 사망 원인이 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이번 캠페인을 위해 대한결핵협회(회장 신민석) 및 메디컬 AI 솔루션사 마이허브(대표 양혁)와 협력해, 찾아가는 ‘폐건강 체크버스’를 전국에서 운영할 예정이다.
폐암은 2023년 기준, 국내 암 사망률 1위 질환이다. 2018~2022년 5년 상대생존율을 보면, 암이 장기 내에 국한된 상태에서 발견되면 생존율이 79.8%에 달하지만, 원격 전이 시에는 생존율이 12.9%로 급격히 낮아진다. 문제는 진단 당시 원격 전이 상태인 환자가 전체의 40% 이상이라는 점이다. 이로 인해 폐암은 조기 발견과 정기 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불확실 폐결절 확인은 폐암 조기 진단의 핵심이다. 저선량 흉부 CT는 폐암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적인 검진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공지능(AI)이 탑재된 흉부 엑스레이 역시 일반 엑스레이보다 결절 발견율이 높다. 국내 단일 기관 연구에 따르면, AI를 활용한 흉부 엑스레이의 폐결절 검출률은 0.59%로, 일반 엑스레이(0.25%) 대비 2배 이상 높았다. 이 밖에도 흉부 엑스레이에서 발견된 비정상 소견은 다양한 폐 및 심혈관 질환과 관련될 수 있어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이날 대한결핵협회, 마이허브와 함께 이번 캠페인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캠페인 현장에 설치된 ‘폐건강 체크버스’를 통해 시민들은 흉부 엑스레이 촬영과 AI 분석 리포트를 받아보며 폐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조정일 한국폐암환우회 회장도 참석해 정기 검진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캠페인을 지지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전세환 대표이사는 “폐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이 크게 높아지는 만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러한 인식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한결핵협회 신민석 회장은 “의료 취약 계층을 비롯해 누구나 폐 건강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맞춤형 건강관리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허브 양혁 대표는 “AI 기술이 환자 삶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식으로 활용될 때, 디지털 헬스케어의 진정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 기반 영상 판독 솔루션을 통해 폐 결절의 조기 발견에 기여하고, 다양한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해 건강 형평성을 높이는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글로벌 비영리 협력기구 ‘폐암 전문가 협의체(Lung Ambition Alliance, LAA)’의 일원으로 폐암이 사망 원인이 되지 않는 미래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폐암 인식 개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