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SK는 4월부터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전국 11개 도시에서 개원의 약 800명을 대상으로 ‘어게인 싱그릭스(Again Shingrix) 심포지엄’을 진행 중이라고 25일 밝혔다. 심포지엄은 3개월간의 전국 대장정을 마치고 오는 7월 제주에서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고령화로 인한 대상포진 부담 증가와 이에 대한 예방 전략을 주제로, 질병 역학과 백신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한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고령자 및 기저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필요성이 강조됐다.

사진=한국GSK가 전국 11개 도시에서 의료진을 대상으로 ‘어게인 싱그릭스 심포지엄’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GSK가 전국 11개 도시에서 의료진을 대상으로 ‘어게인 싱그릭스 심포지엄’을 진행하고 있다.

5월 서울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는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손기영 교수가 연자로 참여해 국내 대상포진 발병 현황과 백신 접종 가이드라인을 설명했다. 손 교수는 “2023년 대상포진 관련 요양급여 비용은  약 1000억 원에 달하며, 50세 이상이 73.4%를 차지했다”라며, “대상포진 후 신경통 환자의 경우 평균 의료비가 최대 4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생백신 접종 이력이 있어도 사백신인 싱그릭스로 재접종이 가능하며, 면역원성 측면에서도 생백신 접종 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승정 교수는 ‘기저질환자 치료 여정에서 대상포진 예방이 중요한 이유’를 주제로, 기저질환자에서의 대상포진 위험성과 싱그릭스의 높은 예방효과를 소개했다.

박 교수는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약 86%가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대상포진 발병률과 합병증 위험을 높인다”라고 말했다. 또한 “기저질환자에게서도 싱그릭스의 예방 효과가 확인됐으며, 국내외 학회에서도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싱그릭스는 유전자재조합백신으로, 50세 이상에서 약 90% 이상의 예방효과를 나타낸 바 있다. 장기 추적 연구에서는 11년 동안 약 88%의 예방효과를 유지했으며, 아시아인 대상 분석에서도 95.6%의 예방효과가 보고됐다.

한국GSK는 앞으로도 고령자 및 기저질환 환자에 대한 예방 중심의 백신 전략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키워드
#GSK #대상포진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