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경 대한간호협회 회장.

5월 12일 국제 간호사의 날을 기념하는 축하 한마당 행사가 전국에서 10만여 명이 운집한 가운데 성대한 막을 올렸다.

국제 간호사의 날은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탄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국제간호협의회(ICN)가 1972년 제정했으며, 올해로 52회째를 맞는다.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과 대한문 일대에서 열린 이날 행사는 간호법 제정 추진 범국민운동본부(이하 간호법 범국본)가 주최하고 대한간호협회가 주관했다. 올해 행사는 대한간호협회가 창립 100주년을 맞는 것을 함께 기념하기 위해 ‘백년간호, 백년헌신’을 주제로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한국 간호계의 숙원과제인 간호법이 국회를 통과하는 데 대한간호협회와 함께 했던 간호법 범국본이 행사를 주최해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고 전했다. 간호법은 현재 국무회의 의결 절차와 대통령의 공포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날 행사를 뜨겁게 달군 주인공은 대한간호협회 김영경 회장. 김 회장은 간호법에 대한 보건복지부와 여당의 태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김숙정 대의원총회 의장, 탁영란 제1부회장, 이미숙 이사, 윤원숙 이사, 박남희 부산광역시간호사회장과 함께 지난 9일부터 단식 중이다.

엠브런스로 현장에 나온 김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마지막 힘을 모아서 국민 여러분과 윤석열 대통령께 호소 드린다”면서 “대한민국의 보건의료는 위기에 놓여 있다. 국가 보건의료의 중추를 담당하고, 우리 부모님과 환자, 장애인 등을 간호하고 돌볼 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간호법은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추진됐다”며 “간호법은 우리 보건의료의 미래를 지탱하고 국민께서 바라는 간호와 돌봄 수요를 충족해 국민건강을 증진하고 환자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간호법은 협회가 1970년대부터 시작했던 숙원사업이다. 2005년부터 논의됐던 간호법 제정을 이제와 수포로 돌리는 것은 공정과 상식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부디 간호법이 최종적인 법률로 확정될 수 있도록 공포해 달라”며 대통령에게 호소했다.

이어 대한간호협회 창립 100주년을 축하하고 간호법이 공포되기를 기대하는 세계 각국의 간호지도자들의 응원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국제간호협의회(ICN) 파멜라 시프리아노 회장은 “간호법은 환자 안전과 간호사 수요 증가를 해결해줄 뿐만 아니라 간호사 채용과 근속, 명확한 규제와 교육의 기준과 과정을 확립하고, 간호사의 적절한 근무 환경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간호사와 환자 모두의 보호를 위해 간호사를 지원하고 간호업무를 확립하는 법적 체계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미국간호협회(ANA) 제니퍼 멘식 케네디 회장은 “간호법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국민에게 존엄한 돌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간호법은 대한민국 간호를 강화하고, 국민에게 올바른 치료와 건강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국제간호협의회(ICN) 하워드 캐튼 CEO, 유럽간호협회연맹(EFN) 엘리자베스 아담스 회장, 일본간호협회 토시코 후쿠이 회장, 중국간호협회 신후안 우 회장, 재외한인간호사회 김희경 총회장 등도 간호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간호법 제정을 응원했다.

이날 10만여 명의 참석자들은 파도타기 퍼포먼스를 통해 간호법 제정은 윤석열 대통령의 약속이라 점을 시민들에게 알렸다.

본 행사에 이어 축하의 무대도 이어졌다. 축하무대는 댄서이자 댄스 트레이너 팝핀현준과 국악인 박애리씨, 가창력을 보유한 보컬인 버즈의 민경훈씨, 4인조 걸그룹 씨스타의 리더 출신인 효린씨가 꾸몄다.

한편 단식 중 행사에 참석했던 김영경 대한간호협회장은 행사 참석 후 건강상태 악화로 응급실로 이송됐다. 김숙정 대의원총회 의장도 응급실로 이송될 예정이라고 간협 측은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