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이 '가치 기반 의료'를 중심으로 4차 미래병원으로 도약을 다짐했다.

21일 서울대학교병원 김영태 병원장은 취임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19대 집행부가 나아갈 방향의 추진전략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김영태 병원장은 환자 친화적이며, 미래의학 선도를 통해 국내 의료 기준을 제시해 나간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김 병원장은 "서울대병원의 미래의 모습은 '가치 기반 의료'에 기반을 두고있다"면서 "기존의 행위기반 의료를 가치 기반의료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가중앙병원인 서울대병원이 대한민국의 미래 의료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이끌어 이러한 위기를 헤쳐 나가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서울대병원은 디지털헬스와 첨단의료기술을 접목해 질병을 예측하고 치료하는 세계 최고의 미래 서울대병원의 청사진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형 미래 K-digital 의료 선도

서울대병원은 세계 최고의 미래병원 도약을  위해 국가중앙병원 및 4차 진료 중심병원으로서 대한민국에 최적화된 '한국형 미래 K-digital' 의료를 선도할 계획이다. 

먼저 디지털 헬스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된다. 

그는 "의료.비의료 데이터 관리 및 통합 AI.머신러닝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료 효용성과 환자 참여를 높일 수 있다"며 "디지털 헬스를 기반으로 기존 단기적.개별적 행위기반 의료를 장기적.전체적인 가치 기반 의료로 변경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김 병원장이 강조하는 가치 기반 의료는 의료진의 효율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환자에게는 짧은 입원 및 낮은 재발률을 보인다. 경영자는 높은 수익대비 낮은 비용이 들며, 정부는 의료비용 대비 높은 환자 건강을 기대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미래의료 인프라 조성을 위해 기초과학, 임상의학 융합 연구 등 미래 의료 선도할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의학-공학-이학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다학제 간 연계 협력강화, 정밀의료 지식은행 기반의 차세대 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어린이병원 시작, 단계적 미래 K-digital 의료 완성

특히 서울대병원은 어린이병원을 시작으로 배곧서울대병원을 통해 디지털헬스 기반 미래의료를 구성하고, SNUH 네트워크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더욱 확산해 공공의료기관으로 역할을 다하고, 마침내 해외 수출 등 미래 K-digital 의료를 완성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대병원은 환자 중심, DEI 경영, ESG 경영, 미래의학, 공공의료 등 5가지의 경영원칙을 제시했다. 

김영태 병원장은 "미래 세대의 눈높이에 맞는 미션, 비전, 가치를 재설정할 것"이라며 "민첩 경영 시스템 확보를 위한 병원시스템을 강화하고, 연구중심병원으로 조직역량도 높여나갈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