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단일항체치료제와 백신이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매출 1위는 머크(Merck, 미국 MSD)의 키트루다(Keytruda)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10일 한국바이오협회는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Evaluate Pharma가 150명의 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을 조사해 최근 발표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매출 1위 제품은 지난해 1위 제품인 화이자(Pfizer)의 코로나19 백신인 코미나티(Comirnaty)를 제치고 머크의 키트루다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미나티 역시 그간 1위를 차지했던 애브비(Abbvie)의 휴미라(Humira)를 제치고 2021년부터 1위를 기록한 제품이다.
키트루다는 2023년 한해에만 전년에 비해 30억 달러의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머크의 PD-(L)1 면역항암제 매출 총액은 올해 약 238억 달러로 전망되고 있다.
키트루다는 전 세계적으로 1000건이 넘는 병용 임상을 통해 18개 암종에 대한 38개의 적응증에서 암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으며, 2022~2025년 사이에 14개의 임상 3상을 시행하면서 수술 전·후 추가 새로운 적응증 확장을 노리고 있다.
키트루다에 이어 화이자/바이온텍의 코미나티, 애브비/에자이의 휴미라,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BMS/화이자의 엘리퀴스, BMS/오노약품의 옵디보, 사노피의 듀피젠트, J&J/미쯔비시케미칼의 스텔라라, 모더나의 스파이크박스,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빅타비 등이 10위권에 포함됐다.
김지운 바이오경제센터 선임연구원은 "세계 각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에 따라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코로나19 백신은 베스트셀러 순위에서 점차 내려가고 있다"며 "출시된지 20년이 되는 휴미라의 경우 올해 1월부터 시작되는 바이오시밀러 경쟁에 직면하면서 매출 감소가 예상되며 얼마나 빠르고 많이 감소할지는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2022년 대비 매출 증가 예상 의약품
2022년에 비해 올해 가장 많은 매출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의약품은 단연 키트루다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어 사노피/리제네론(Sanofi/Regeneron)의 듀피젠트(Dupixent)로 전년에 비해 20억 달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전년 대비 매출 증가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은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오젬픽(Ozempic)과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마운자로(Mounjaro)가 상위권에 포함됐다.
이 제품들은 각각 전년 대비 20억 달러, 19억 달러의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향후에도 급격한 매출 증가가 예상되면서 가장 주목해야 할 의약품으로 떠올랐다.
이어 J&J의 다잘렉스,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BMS/오노약품의 옵디보, 애브비의 스카이리치, BMS의 엘리퀴스, 애브비의 린버크가 10위에 포함됐다.
2023년 전문의약품 매출 상위 예상 기업
화이자의 경우 코로나19 백신과 항바이러스제가 계속해서 큰 매출 발생의 원동력이 되면서 올해도 머크와 노바티스(Novartis)를 포함한 경쟁사보다 매출액이 훨씬 앞설 것으로 전망됐다. 2위는 강력한 키트루다 매출을 기반으로 한 머크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존슨앤존슨, 노바티스, 애브비, 로슈, BMS,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GSK가 전문의약품 매출 상위 10대 기업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가장 많은 신규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회사에는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포함됐다. 이들 기업은 제2형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인 오젬픽, 위고비 및 마운자로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큰 매출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일본 다이이찌산쿄(Daichii Sankyo)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항체약물접합체(ADC)인 엔허투(Enhertu)를 통해 HER2 유방암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