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제인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 'CT-P59(성분 레그단비맙)'가 조건부 허가 신청을 통해 국내 첫 코로나19 치료제로 내년 1월 출시를 앞두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조건부 허가 신청에 필요한 임상 2상 결과서를 식약처에 제출할 예정이다. 

앞서 셀트리온은 지난달 25일 임상 2상 투약을 마친 뒤 한 달여간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왔다.

관련해 식약처는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의 심사 기간을 180일에서 40일로 대폭 단축됐다. 

셀트리온이 항체치료제에 대한 허가 신청을 이달 안으로 내고 식약처의 조건부 허가 심사를 통과할 경우 이르면 1월 안으로 치료제 출시가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실제 셀트리온은 조건부 허가가 승인되면 의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난 9월부터 국내 환자 10만명이 치료받을 수 있는 물량을 생산해 둔 상태다. 

이와 관련 기우성 셀트리온그룹 부회장은 28일 진행된 2020 바이오투자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항체치료제에 대한 2상 임상결과에 대한 자료 정리는 끝났다. 연내 조건부 허가 신청을 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게 됐다"면서 "안전성에 큰 이슈가 없어 조건부 허가를 위한 마지막 단계로 희망적인 소식이 들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항체치료제는 경증 환자 치료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셀트리온측은 조기 투여 시 바이러스를 즉각적으로 중화하는 효과를 보여 백신과 같은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기 부회장은 "CT-P59는 조기진단과 조기치료를 통해 장기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로 조기에 치료만 할 수 있다면 코로나19는 크게 걱정 안해도 된다"고 말했다.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기 부회장의 설명이다. 

기 부회장은 "변이가 일어났을 때 우리가 개발한 치료제가 작용하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미국과 협업을 통해 변이된  바이러스에 작용하는지 테스트하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