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주은정 교수 "팍스로비드, 약물병용 한계 분명"
'라게브리오' 중증화·사망률 감소 효과 확인…고연령일수록 높은 효과

왼쪽부터 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주은정 교수, 한국MSD 의학부 김경문 부장, 한국MSD 호스피탈 스페셜티 사업부 김현 전무, 한국MSD 대외협력부 이희승 전무.
왼쪽부터 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주은정 교수, 한국MSD 의학부 김경문 부장, 한국MSD 호스피탈 스페셜티 사업부 김현 전무, 한국MSD 대외협력부 이희승 전무.

엔데믹으로 전환됐지만 코로나19가 고령자,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게 여전히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인 '라게브리오(성분명 몰누피라비르)'가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강조되고 있다.

국내 가이드라인에 의해 1차 치료제로 권고되고 있는 '팍스로비드(성분명 리토나비르+니르마트렐비르)'가 약물상호작용 때문에 특정 약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게 사용하기 어렵고 신장애 및 간장애 환자에게 사용할 수 없는 반면, 라게브리오는 이러한 제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이라는 의견이다.

주은정 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30일 한국MSD가 개최한 미디어 세미나에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라게브리오의 가치와 임상적 혜택'을 공유했다.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10명 중 약 9명(91.9%)은 65세 이상 고령층이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코로나19 중증 감염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심장, 폐, 신장 등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는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 악화 및 사망에 이를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주 교수는 "라게브리오는 한국에서 진행된 대규모 RWE(Real World Data) 연구에서 중증화 및 사망률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며 "고연령일수록 더 높은 효과를 보여 해외 RWE 연구와 유사한 경향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라게브리오의 RWD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코로나19에 감염된 18세 이상 국내 확진자 중 약 95만명을 대상으로 라게브리오 복용군과 미복용군에서 중증화 및 사망에 대한 예방 효과를 분석했다.

두 그룹을 비교한 결과 라게브리오 복용군은 미복용군 대비 중증화 및 사망에 대한 예방 효과가 60세 이상 33%, 70세 이상 39%, 80세 이상 44%로, 높은 고연령일수록 중증화 및 사망 예방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주은정 교수.
주은정 교수.

주 교수는 "코로나19 백신을 한번도 접종하지 않은 백신 미접종군 환자군에서 라게브리오 복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라게브리오 복용 환자군은 미복용 환자군보다 중증화 위험도가 40%, 사망 위험도가 30% 낮은 것으로 나타나, 백신 접종군보다 백신 미접종자 환자군에서 복용효과가 뛰어났다"고 언급했다.

다만 이는 고령층이나 요양시설 입소자들의 경우 코로나19 증상에 대한 인지가 늦어, 중증화 단계로 접어든 뒤 중환자실로 입원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가 주요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라게브리오는 현재 국내에서 처방 가능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중 약물상호작용이 없는 치료제로 꼽히고 있다.

주 교수는 "기저질환으로 여러 약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게 팍스로비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라게브리오를 사용할 수 있다. 신장애 환자나 간장애 환자에게도 처방이 가능하다"면서 "코로나19는 단순히 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2차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약물을 병용해야 하는데, 팍스로비드는 커버할 수 있는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화이자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팬데믹 당시 긴급사용승인을 통해 국내 도입된 이후 지난해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정식 품목허가를 받았다.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코로나19 주사제 '베클루리(성분명 렘데시비르)'도 2020년 7월 정식 품목허가를 받았다. 팍스로비드와 함께 지난해 10월 급여를 신청해 현재 심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라게브리오는 2022년 3월 긴급사용승인으로 국내 도입됐으나 이후 정식 허가를 받지 못했다.

이희승 한국MSD 대외협력부 전무는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와 협력해 긴급사용승인을 받았다"며 "지난해 7월 정식 품목허가를 받기 위한 서류를 접수하고 기다리고 있다. 승인이 나는대로 급여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