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보안 등 다각적인 검토 동반 필요

국내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도 및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과 서비스에 별도 수가 혹은 보조금 지급의 보상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현재 국내 디지털 헬스 서비스 분야는 제품 개발 후 시장진입과 허가절차 등 신속한 대응을 위해 법과 규제의 정비·완화뿐만 아니라, 실사용데이터(RWD) 확보를 통한 실사용증거(RWE) 확립을 통한 안전성과 유효성 강화 등 산업 생태계 전반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더해 보고서는 향후 정책 지원 시 데이터 상호운용성과 개인정보 보호 등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제도 보안 등 다각적인 검토가 동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헬스 서비스란 보건의료 서비스에 일부 혹은 전체가 디지털화된 서비스로, 구체적으로 보건의료와 관련된 예방, 진단, 치료, 모니터링, 관리 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와 서비스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헬스 서비스가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검증된 보건의료 컨텐츠와 일정 수준의 보건의료분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헬스 중재(DHI) 등 디지털 어플리케이션의 결합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는 주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질환들로 심혈관(심부전, 뇌졸중), 당뇨 및 고혈압(고지혈증), 정신질환 등이며, 상태 모니터링 및 증상관리를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헬스 서비스는 기존의 인지행동프로그램에서 앱과 Web기반의 중재가 결합된 형태로 효과는 환자의 증상지표, 의료비, 삶의 만족도 등으로 측정된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헬스 서비스는 주로 자기관리용 원격모니터링 프로그램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들 디지털 헬스 중재법(DHI)의 효과는 전자환자결과보고 등으로 수집된 환자정보관리, 암환자 통증관리, 증상완화 등이 지표로 사용됐다. 

보고서는 “질환관리에 활용되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효과는 기존 치료법과 비교할 때 일정부분은 건강지표의 개선, 입원일수 감소, 삶의 질 개선, 증상 및 통증 완화, 비용절감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는 건강지표 개선의 미비로 비용대비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보고서는 “일부 중재법에서 효과를 가져오는 사례를 수정·보완하고, 한계점을 고려해 임상현장의 수용성을 높이는 중재법을 개발해 적용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의료진을 포함한 의료전문가 대상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에 활용되는 기술은 정밀의료, 웹기반, 모바일, 로봇 등이 있으며, 의료서비스의 제공자이면서 해당 기술의 사용자로서 경험하는 효과와 제한점 등이 기술되어 있다.

보고서는 “국내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헬스 중재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아직 미비해 양적으로 다양한 연구결과가 누적될 필요도 있다”면서 “하지만 향후에는 심혈관질환, 당뇨 및 고혈압 외 암, 중독 등의 정신질환 치료 등으로 질환 범위도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