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춘 탈북 약사 "원료·시설·전기 지원 필요"

김재송 파트장 "남한, 북한의 체계적 자립 마중물 역할 해야"

남북화해 모드를 타고 약계에도 남과 북의 약학 분야 협력  체계를 만들기 위한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

18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8 대한약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한약학회'에서 런천 세션으로 진행된 '제5차 서리풀 미래약학 포럼'은 '약료 및 제약분야 남북협력'을 주제로 보건의료계 인사들의 다양한 견해가 쏟아졌다.

탈북 약사인 박태춘 교수(전 함흥약대 교수)는 첫 강연 주제로 '북한의 약료 및 제약분야 실태와 남북협력'을 설명하며 북한의 경제 악화로 의약품 원료 지원, 북한공장과 기업을 위한 전기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통일약학의 미래를 위해서는 교육과 보건의료 약학 분야의 민간 교류 활성화, 남한 약대 교수들의  북한 약대 초빙강의, 북한약대 학생들의 남한 약대 유학, 중요도시에서의 합영약국운영, 남한 제약공장에서 북한 약 지원, 북한 제약공장들에 약원료 지원, 북한의 공장이나 기업들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전기 지원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의약품 제조 설비에 대해 "전기가 없어 공장을 돌리지 못하는 상황"이라면서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제약공장에서 생산하는 약품은 원료의 부족과 전기 부족으로 최소한의 약만 만드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약학교육에 대해서는 "약사와 조제사가 있는데, 약제사는 함흥약대에서 6년제로 배출하고, 의약전문 약학과에서 4년제 조제사를 배출한다"면서 "남한과 달리 합성, 항생, 생물, 약제, 동약, 의료기구 등 전공을 살려 그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한다"고 설명했다.

김재송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임상지원파트장은 '약료서비스 부분 한반도 건강공동체 협력 방안'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북한의 일반 주민은 의약품을 제대로 구할 수 없어 불법 유통되는 의약품을 장마당 등에서 구입해야 하는 실정"이라면서 "의약품 공급 부족으로 인해 북한은 1990년대 이후 약료서비스는 배제한, 의약품 공급에만 초점이 맞춰진 상태"라고 현 상황을 소개했다.

이어 "남북의 협력으로 약계에서 북한의 지원이 가능하다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의약품 공급과 의약품 생산의 질적 확보, 의약품 생산의 질적 확보 절차, 의약품의 안전한 관리방법, 처방중재나 복약지도 등의 약료서비스에 대해서도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송 팀장은 "2012년 WHO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약료서비스는 약제사가 충분한 시간이 있었음에도 환자에게 복용방법 설명 등을 위한 복약지도를 하지 않고, 조제된 약에 용량용법 지시 등 표시 기재가 부족한 라벨링이 관찰되고, 정기적인 유효기간 점검을 통한 폐기절차가 없어 약국에 유효기간이 지난 의약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런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약학적 관점에서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를 위해 제일 먼저 북한의 현황 파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러기 위해서는 남북한 활발한 교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면서 "모든 분야의 약사가 포함된 남북한약학협의체를 설립해 남북한 약사 통합과 발전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 및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영미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원장은 '통일시대를 위한 남북한 의약품 분야 교류 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을 채택해 보건의료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설정했으나 최근까지도 병원에 국가가 공급하는 의약품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윤 원장은 "북한 주민들 역시 북한에서 생산되는 의약품 상품성이 중국에서 생산된 의약품에 비해 떨어진다고 생각해 불신이 높다"면서 "중국에서 들여온 의약품이 20배 이상 고가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 속에서 북한의 과거와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를 쌓아야 하며 남북 교류와 통일시대 대비를 위한 남북한 공동의 의약품 분야 교류협력과 개발협력이 단, 중, 장기 방안으로 세워져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