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구축·이동·법·제도 운영 필요성 강조

보건의료산업에서 데이터가 가지는 의미가 매우 커지고 있는 가운데 활성화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구축·이동 및 법·제도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분석은 개인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고, 의료기관의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의료 기기 및 서비스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점차 많은 의료기관과 관련 기업들이 데이터를 이용해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금융이나 유통 등 타 업종과 비교하면 보건의료분야의 데이터의 수집부터 거래, 활용까지의 역량이 다소 낮은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보건의료데이터가 가진 본질적 가치의 측면뿐만 아니라 산업적 가치에 주목하고 데이터 역량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힘을 쏟고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데이터를 안전하게 가공하고 활용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데이터 활용을 위한 초적을 마련했으며, 보건의료빅데이터의 플랫폼사업,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 등 공공데이터를 통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주도 데이터 구축.활용 사업을 수용하고 있는 것이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의료데이터의 활용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에 가장 큰 장애요인은 법/제도적 제약으로 조사됐으며, 분쟁 발생 시 책임소재 불분명 역시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데이터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안전하게 유통해 결합을 통한 의미 있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치사슬 전(全) 단계에 대한 정책 지원 제도의 마련이 필요한 것이다.

정부도 의료데이터 활용 확대를 위해 데이터 3법 개정과 더불어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으며,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사업, 보건의료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등을 통해 민간과 공공이 보유하고 있는 의료데이터의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데이터의 구축부터 통합.연계.개방을 통한 활용까지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보고서는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첫번째로 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사이의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의 주체, 의료기관, 활용기업(데이터 이용자), 규제 당국 등이 함께 데이터 구축 시 이득과 손해가 무엇인지 논의하고, 의료데이터 활용에 선행해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질 필요성을 명확히 해야 한다.

또한 활용 가치가 높은 데이터로 만들기 위해서는 데이터 간 자유로운 이동성이 요구된다.

보고서는 "지속적으로 데이터가 거래, 유통되기 위해서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마련해 고품질의 데이터가 꾸준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데이터 거래, 전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한 적절한 인센티브의 마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의 구축과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진다면, 다양한 활용을 위해 효과적인 법.제도의 운영이 필요하다.

보고서는 "모든 데이터 영역의 활용을 아우를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며 "데이터 결합에 대한 접근성이 보다 용이해진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