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응급실 뺑뺑이로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응급실 과밀화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과거부터 많은 문제점이 지적돼 왔다.

응급실 부족은 전문의 부족을 비롯해 응급의료 인프라의 붕괴 등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최근 입장문을 통해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은 의뢰한 병원의 배후 진료 능력 부족으로 환자를 치료할 만큼의 의료자원이 부족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인프라 붕괴의 원인으로는 응급실에 오지 않아도 될 경증환자를 지적하고 있다.

경증환자의 응급실행은 의료 인력과 병상 모두가 부족해진다.

병원은 경증환자로 인한 인력 등 부족과 환자 거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의사협회는 상급종합병원 과밀화 문제 해결을 위해 경증 환자 119 이송금지 및 경증 환자 이용을 금지하는 특별법을 요구하고 있다.

당정은 응급실 뺑뺑이 재발을 막기 위해 지역 응급의료 상황실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이송하는 환자는 병원에서 반드시 수용하도록 하는 대책을 내놓았다.

또한, 권역 응급의료센터가 응급실 진료 전 중증도를 분류해 경증 응급환자는 수용하지 않고 하위 종별 응급의료기관으로 분산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바른의료연구소는 성명서를 통해 이번 대책이 책임을 의료진들에게 떠넘기는 탁상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대책으로 의사 정원 확대를 통한 응급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료계와 당정이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