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칼퀸스’, J&J ‘임브루비카’에 도전
더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 어필…베이젠 ‘브루킨사’도 추격

아스트라제네카(AZ)의 빠르게 성장하는 BTK 억제제 칼퀸스(Calquence)가 만성 림프구 백혈병(CLL) 치료에서 계열 리더인 J&J와 파트너 애브비의 임브루비카(Imbruvica)에 도전하고 있다.

AZ는 칼퀸스가 심각한 심장 부작용이 더 적다고 주장하는 새로운 직접 비교 데이터를 최근 발표했다.

AZ의 ELEVATE 임상시험의 최신 연구에서 칼퀸스(acalabrutinib)는 이전 치료받은 고위험 CLL 환자의 암 진행이나 사망 위험 감소에 대해 임브루비카(ibrutinib)와 일치함을 보였다.

하지만 이런 비열등성 효능만으로 후발 주자인 칼퀸스의 우위를 판단할 수 없다.

대신, AZ는 안전성의 이점을 강조했다.

임브루비카 환자와 비교해, 3상 Elevate-RR 임상에서 칼퀸스 환자들은 뇌졸중, 심부전, 다른 심혈관 합병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불규칙 심박률인 심방세동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춘 것을 입증했다.

AZ는 40개월 이상의 추적관찰을 통해, 선택적 BTK 억제제인 칼퀸스가 효능 훼손없이 심방세동에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됐다고 밝혔다.

AZ에 따르면, ELEADE-RR 임상은 성인 백혈병의 가장 일반적인 종류인 CLL에서 두 BTK 억제제를 직접 비교하기 위한 첫 3상 연구이다.

지금까지는 지원 데이터 없이 톱라인 결과만 공개됐다.

AZ는 광범위 대 B세포 림프종, 발텐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 여포성 림프종 등 다른 적응증에 임브루비카의 대안으로 칼퀸스를 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칼퀸스가 임브루비카에 대해 우수한 안전성을 보고한 것은 처음일 수 있지만, 다른 약품들도 다가오고 있다.

중국 제약사인 베이젠(BeiGene)은 재발/난치성 CLL 또는 소 림프구 림프종에서 임브루비카에 대해 BTK 약품 브루킨사(Brukinsa)를 3상 Alpine 임상에서 직접비교하고 있다.

이런 임상의 데이터는 올해 나올 수 있다.

Alpine 임상 이전에도, 다른 적응증에서 브루킨사가 임브루비카보다 더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

3상 Aspen 임상에서, 브루킨사는 발텐스트롬마크로글로불린혈증9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환자에서 암 반응의 1차 최종목표에 대해 임브루비카를 크게 능가하지 못했다.

하지만 브루킨사는 임브루비카 15.3%에 비해 2.0%의 더 낮은 심방세동률과 더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다.

현재 브루킨사는 더 작은 외투세포 림프종에서 미국에서 승인됐다.

이 약품은 지난 6월 2상 종양 감소 데이터를 근거로 중국에서 재발/난치성 CLL/SLL에 승인받았다.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는 올해 상반기에 예상되는 3상 Sequoia 임상 결과에 앞서 1차 라인과 2차 라인 모두에 사용을 권고해, 대형 적응증에 미국에서 일부 오프라벨로 사용할 수 있다.

BTK 계열 경쟁

지금까지 임브루비카는 BTK 계열에서 여전히 리더이다.

애브비는 작년 9월까지 임브루비카의 매출은 31.4억 달러로 연간 15%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임브루비카는 작년 4월 청신호를 받은 새로 진단된 CLL에 로슈의 리툭산(Rituxan)과 복합 증 새로운 라벨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

칼퀸스의 새로운 직접비교 임상 결과와 신규 환자의 시장 점유율 증가는 임브루비카의 시장 리더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2017년 외투세포 림프종(MCL)에 첫 승인된 칼퀸스 매출은 2019년 말 CLL에 승인된 이후 급증했다.

칼퀸스의 2020년 9월까지 매출은 3.4억 달러로 연간 200% 급증했다.

하지만, 2019년 CLL, MCL 등 6개 적응증에서 약 56억 달러 매출을 임브루비카에는 훨씬 뒤처져 있다.

AZ는 뛰어난 효과와 우수한 내약성 프로필로 CLL에서 칼퀸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칼퀸스가 2020년 3분기에 미국에서 새로운 환자 시작의 약 35%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브루킨사도 더 우수한 전체 안전성과 내약성의 프로필로 CLL에서 승인되면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