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데이터 근거 부족 VS 일부 환자 효과 얻어

뇌기능 영양제로 불리는 콜린알포세레이트 처방을 놓고 임상현장에서 실제 처방을 하는 의사들도 이견을 보였다.

국회와 시민사회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콜린알포세레이트 유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만큼 관련 학회와 의료계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7일 개최된 대한노인신경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도 약효를 두고 근거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며 오남용과 부작용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이 나왔다.

반면 환자에게 처방을 했을 때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며 약효가 없다는 판단은 성급하고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국내 연구가 아직 진행 중인만큼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좌)대한노인신경의학회 한일우 회장, (우)박건우 총무이사.

대한노인신경의학회 한일우 회장(용인효자병원)은 “설왕설래가 많은 부분으로 약의 효능에 대해 어느 쪽으로 단정 짓기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다만 오늘 이 자리는 과거 연구결과에 대해 학자적 관점에서 토론을 해보자는 취지로 마련했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박건우(고려대 안암병원) 총무이사는 “소위 뇌영양제라고 알려진 약이 있다. 그 약이 병이 있는 사람에게는 분명히 약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병이 없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부작용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한다”면서 “모든 사람에게 좋다고도, 모든 사람에게 의미 없다고 몰아가는 것도 잘못된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그는 “어떤 약을 처방할 때 정확히 진단하고 그 필요성에 대해 아는 의사가 하면 더 좋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치매라는 병을 신경과 의사만 잘 본다고 할 수 없다. 모든 의사가 모든 약 처방할 수 있어야 하지만 판단기준은 정확히 진단하고 양심에 따라 해야하다”고 강조했다.

정일억 교수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적응증 재검토 필요, 약물 자료 확보 시급”

신경퇴행질환에서 뇌신경개선제들의 예방 및 증상개선 효과 주제 발표를 맡은 이찬녕 고려의대 신경과 교수와 정일억 고려의대 신경과 교수는 과거 논문 데이터를 중심으로 발표를 이어갔다.

먼저 이찬녕 교수는 “과거 논문들의 살펴봤을 때 약효의 유효성을 판단할 만한 큰 의미를 발견하지는 못했다”면서 “다만 약을 복용하고 증상이 조금 더 나았다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그는 “과거 데이터는 어느 정도 분명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왔다”면서 “그러나 콜린알포세레이트 제제를 어떻게 써야할 지는 의사 본인이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일억 교수는 “정말 효과가 있을 것인가를 어떤 측면으로 바라봐야 하는 지를 평가해야 한다”고 전제하며 “현재 국내 콜린알포세레이트에 대해 허가된 사항을 보면 노인이면 대부분이 적용되는 사항들이다. 그래서 처방이 많았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또한 정 교수는 “국내 허가 당시 약효의 근거가 된 논문들이 대부분 1987년 이탈리아에서 허가될 때 근거로 적용된 것을 그대로 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가 없었다”고 지적하며 “2001년 허가 이후 현재까지 유효성을 명확히 입증할 만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더불어 그는 “과거 연구 데이터들을 살펴보면 좋은 결과를 얻었는데 연구를 진행한 대상이 누구인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며 “한 국가의 한정적인 데이터라는 것에 대해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그는 “현재 약물의 적응증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는 의견을 밝히며 “늦었지만 이제라도 약물 자료의 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치매예방 근거 못 찾아” VS “효과 봤어”

현재 알포세레이트제제의 처방을 살펴보면 치매환자는 전체 처방의 4분의 1이고, 나머지 4분의 3은 예방차원에서 노인에게 처방된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주제발표 후 “치매예방에 처방해도 되냐”라는 질문에 대해 이찬녕 교수는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근거는 없었다. 과거 논문을 통해서는 가정 정도로 봐야한다”고 답했다.

한편 일부 의사는 “몇 몇 환자들에게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며 “약효가 없다는 결론을 단정적으로 할 수 없다”는 의견을 냈다.

이에 대해 한일우 회장은 “예방적 차원에서 처방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정짓기 힘들다”면서 “국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결과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수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