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국내 제약 산업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슈가 존재하고 있으나 최대 화두는 경쟁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화다. 정부가 제약사의 리베이트 척결 등을 내세우며 했던 말 중 하나도 R&D 투자를 유도해 신약개발 투자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것.

제약산업이 국내 시장에 안주하고 제네릭 위주의 제품 구성으로 인해 국제 경쟁력을 상실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약개발에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맞는 말이다. 다국적 제약사의 국내 의약품 시장 진출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시장에만 안주하면 도태될 위험이 있다. 해외로 눈을 돌려야 한다.

해외로 눈을 돌리기 위한 필수조건은 글로벌 경쟁에서 통할 수 있는 '신약개발'이다. 신약개발은 리스크가 매우 높은 분야다. 막대한 투자금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성공 가능성보다는 실패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신약개발에 투자하는 것은 성공할 경우 돌아오는 이득이 너무나도 달콤하기 때문이다.

국내 제약사 중 신약개발을 통한 달콤함을 가장 크게 경험한 곳은 동아제약이다. '스티렌'과 '자이데나'를 통해 신약개발에 성공할 경우 얼마나 큰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직접 경험했다.

신약개발에 있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조급증이다. 꾸준한 투자와 인내하며 기다리지 않을 경우 달콤한 과즙을 맛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약개발에 대한 조급증이 남아 있다.

동아제약도 신약개발을 통한 과즙을 맛보기 위해 오랜 시간을 인내하며 투자했다. 이 과정을 모르는 사람들은 동아제약이 성공했으니 우리도 성공할 수 있다며 신약개발이 너무나도 쉬운 것처럼 말한다. 신약개발 투자의 위험성을 간과하는 것이다.

제약산업을 표현하는 말 중 'High Risk High Return'이 있다. 제약사가 신약개발 투자를 지금 당장 시작해도 결과물은 10년 뒤에나 얻을 수 있음에도 사회적 분위기는 이같은 사실을 간과하는 것 같아 아쉽다.

바이오시밀러도 마찬가지다. 바이오시밀러에 투자를 하면 반드시 성공할 것 같은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국내 제약사들도 너도 나도 바이오시밀러에 진출한다고 말한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분위기를 가장 우려한다. 위험성은 무시한 채 달콤한 결과만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약개발이든 바이오시밀러든 높은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 너무 높은 기대치를 부여하게 될 경우 실망도 클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