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의 미국 대통령 취임으로 미국 의약품 시장의 향후 동향이 주목받고 있다. 아직 구체적인 의료 개혁안은 나오고 있지 않지만 모든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저가의 고품질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 보험제도 구축이 근저에 깔려 있는 것 같다.

오바마 대통령의 지금까지 공약을 볼 때 의료보험의 비가입자 감소나 아동의 건강 보험 의무 가입, 기업의 고용자 제공형 보험의 촉진·지원 등을 가속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재원 확보를 위해서 제네릭약물의 사용 확대, 고령자용 처방 의약품 가격에 대한 정부가 제약 기업과 직접 협상하는 제도를 만들 것으로 예측된다.

또 동종의 의약품이 미국보다 캐나다가 저가일 경우 수입을 승인하는 정책도 제안되는 것 같다.

미국은 부시 전 정권은 제약기업 보호 정책으로 같은 의약품도 종류에 따라서는 캐나다에서 사는 것이 미국보다 30~50%나 저렴하지만 수입을 불허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로 의약품을 구매하기 위한 관광도 있다고 알려졌다.

오바마 정부가 내걸 의료 개혁안은 제약 업계에게 주는 영향을 생각했을 경우 우선 의료보험 가입자의 증가로 의약품의 사용량의 증가는 틀림없을 것이다.

하지만, 제네릭약 사용의 촉진, 의약품의 가격 결정에 정부 관여 강화 은 종합적으로는 신약 메이커에 있어서 어려운 국면을 맞이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요즘 병원 방문 환자의 감소는 불씨가 돼 새로운 어려움에 박차를 가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의 의약품 시장의 침체는 국내 제약업체들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아직 미국 시장에 진출한 국산 의약품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지만 향후 성장을 위해 미국 시장을 개척해야 하는 것일 필연적인 과제이다.

어려운 환경 하에서도 세계 최대의 의약품 시장인 미국을 뚫지 못하고는 국내 기업의 성장은 확신할 수 없을 것이다.

국내 선발 메이커들은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당뇨병, 암 등 만성질환보다는 새로운 틈새시장을 찾아야 한다.

미국 제네릭 확대 정책은 제네릭 위주의 국내업체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물론 미국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미 FDA 규정에 맞는 요건을 채워야 하지만 국내 제약사들도 글로벌 경쟁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국내 제약사들은 미충족 욕구를 채울 수 있는 의약품보다는 지지요법에 도움이 되는 신약연구도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항암제의 부작용에 의한 구토나 근력의 저하, 혈소판의 감소를 개선하고, 기존의 항암제의 유용성을 최대로 올려 치료를 지속하기 위한 신약이 의료 현장에서 강하게 요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동아제약도 최근 항암제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신약 개발을 위해 미국 업체와 제휴를 했다.

의료 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신약의 개발이나 마케팅 활동이 향후의 제약사들의 생존에 큰 전환점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