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증 확대 전략 확산 전망…특화된 제품 보유가 관건

국내 진출한 다국적 제약사에게 올 한해는 어느 때보다 춥고 어두운 시간이 될 전망이다. 의약분업 이후 거침없이 성장세를 구가했던 다국적 제약사는 정부의 강력한 약제비 억제정책이란 암초에 걸려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단일보험 체계에서 특단의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이에 올 한해 다국적 제약사의 전망에 대해 진]

다국적사 짚어지는 주름살 과연 펴질까
①인력구조조정 현실화 되나?
②신규 성장동력 부재…그 이유는?
③주름살 펴줄 돌파구는?


인력감축에 대한 우려감, 신규 성장동력 부재, 잇단 신약의 비급여 파문......

다국적 제약사의 이마에서 주름살이 펴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무언가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나 쉽지 않다는 것이 대체적인 견해다.

다국적 제약사의 시름의 출발선이 정부의 강력한 약제비 억제정책이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시장주의 경제정책으로 어느 정도 제약업계에 숨통이 트일 것이란 당초 예상과 달리 오히려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국내 제약사들은 특허 만료 대형품목의 제네릭 선점과 개량신약 개발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반면 다국적 제약사는 마땅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기등재목록정비를 통해 대대적인 약가인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단 한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 품목에 대한 약가인하가 단행될 예정이어서 한해는 탈없이 넘겼다고 하더라도 결코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인하된 약가만큼 매출성장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전체 성장이 둔화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다국적 제약사들이 소량품목을 중점 육성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어 2~3개 주력품목이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다국적 제약사 관계자들은 향후 전망에 대해 대체적으로 비관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이마의 주름살을 펴게 만들 돌파구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A제약사 관계자는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방안을 찾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봐야 한다”며 “단일보험 체제에서 정부가 약제비 억제정책을 완화하는 것을 바라고 있으나 이는 허황된 꿈에 불과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국적 제약사들이 이같은 상황에서도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은 보험급여기준의 확대 전략이다. 신약 파이프라인 부족과 주력 신약 비급여로 인해 성장동력에 빨간 불이 커지자 기존 약제에서 대안을 찾고 있는 것이다.

기존 적응증에 비슷한 질환군의 적응증을 확대해 나가는 것과 함께 기존 약제를 다른 분야로 적응증을 넓혀가는 전략까지 다양하다.

만성질환치료제의 경우 합병증 예방 등이 주요 이슈로 대두되면서 이같은 추세는 보편화된 상황이다.

기존 약제 적응증과 전혀 다른 분야의 적응증으로 영역을 확대한 대표적인 약물이 ‘뉴론틴’과 ‘리리카’이다.

한국화이자제약은 ‘뉴론틴’과 ‘리리카’를 당초 간질약으로 개발, 시판했으나 기존 제품들고 경쟁에서 밀리자 통증치료라는 새로운 영역을 확보해 강자로 등극했다.

B제약사 관계자는 “적응증을 확대하는 전략은 이미 예전부터 있어왔으나 최근들어 부각되고 있을 뿐”이라며 “현재 어려움을 극복할수 있는 대안으로 보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어둠의 터널을 뚫고 가기에는 현재 대안이 없다고 보는 것이 사실”이라며 “특정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다수 확보하고 전문화된 제약사가 아니면 상당히 힘든 시기를 보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