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감 고조 속 명퇴 받는 곳도…성장동력 부재가 원인

국내 진출한 다국적 제약사에게 올 한해는 어느 때보다 춥고 어두운 시간이 될 전망이다. 의약분업 이후 거침없이 성장세를 구가했던 다국적 제약사는 정부의 강력한 약제비 억제정책이란 암초에 걸려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단일보험 체계에서 특단의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이에 올 한해 다국적 제약사의 전망에 대해 진]

다국적사 짚어지는 주름살 과연 펴질까
①인력구조조정 현실화 되나?
②신규 성장동력 부재…그 이유는?
③주름살 펴줄 돌파구는?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제약사의 주름살이 짚어가고 있다. 희망의 노래를 불러야 할 연초임에도 불구하고 절망의 노래를 부르는 곳이 상당수에 달하고 있다.

다국적 제약사에 드리어질 그늘은 한두가지가 아니다. 정부의 강력한 약제비 억제정책이 가장 큰 핵심이 될 것이기는 하나 이를 충분히 극복이 가능하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다.

가장 큰 문제는 자칫 성장성이 떨어질 경우 발생하게 될 본사 차원에 진행되는 인력 구조조정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다국적 제약사는 이같은 조짐이 벌써부터 보이고 있다. 성장동력의 중심축인 파이프라인이 고갈된 곳이 상당수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국내에 신약을 들여오지 목한 것은 물론이고 향후에도 발표할 가능성이 없는 곳이 상당수에 달한다.

다국적 제약사 중 매출 1위를 달리는 한국화이자제약이 그 대표적인 케이스다. 항암제 '수텐' 이후 신약의 임상데이터 발표가 없다.

특히 대표품목인 리피토, 노바스크 등이 특허만료로 제네릭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다. 약가재평가로 인해 약가가 대거 인하된 점도 악재이다.

제약사의 성장성이 발목 잡히게 될 경우 가장 먼저 단행되는 것이 조직에 대한 구조조정 착수다.

단수한 조직개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잉여인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경우 인력감축이 단행될 수 있다.

고지혈증치료제의 재평가 결과가 발표된 직후 몇몇 다국적 제약사 관계자들은 인력감축에 대한 우려를 감추지 않았다.

이는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된 대규모 인력감축에서 한국은 예외지역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일부 제약사는 오히려 인력을 충원하기도 했다.

향후 한국시장에 대한 성장성을 보고 인력감축이 아닌 충원의 패를 들고 나왔으나 제약산업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이제는 인력 감축이라는 패를 들고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일 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 일부 다국적 제약사에서는 잉여인력 감축을 위한 명예퇴직을 단행한 곳도 있다.

A제약사 관계자는 “한국시장이 인력감축의 예외지역이 이제 더 이상은 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정부의 강력한 약제비 억제정책과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신약도입이 늦어지면서 인력감축은 조만간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