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2009년 전망-의료계Ⅱ치열한 경쟁 예고…특성화 전략 절실

오는 2009년도 의료계의 전망은 ‘불황’과 ‘전문화’로 요약할 수 있다. 원화의 가치 하락과 경기 불황이 1~3차 의료기관을 강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특화된 의료서비스만이 그 난관을 뚫고 나가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편집자 주]


원화의 가치 하락에 의한 의료계의 불황과 위기
국내 경기 침체가 환율에 직격탄을 날리면서 1~3차 의료기관이 어려움에 빠져 있다. 특히 95% 이상이 수입에 의존하는 의료물품과 의료기기의 수입이 고환율의 여파로 일시 중단되면서, ‘의사’는 있지만 ‘의료물품과 의료기기’가 없어서 치료를 못 하는 의료대란이 벌어질 조짐이다.

국내 의료기기업계 관계자들은 1300원 대에서 잠시 주춤하고 있는 환율에 잠시 안도하고 있지만 아직 수입을 재개할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정부에서 고환율에 대한 보상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이상, 고환율에 따른 의료물품과 의료기기 부족은 의료계의 시한폭탄으로 남아있다.

1~2차 의료기관은 고환율에 이어 엔화의 가치 폭등에 몸살을 앓고 있다. 3~4년 전 1차 의료기관을 차리거나 세를 확장하려는 중소병원들이 1엔화 당 700원 대의 변동환율로 3년 거치 5년 분할상환으로 목돈을 빌리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 일본의 은행 이율은 거의 0%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일본 돈이 국내에 상륙해 의료기관에 3~4%대의 낮은 이율로 투자됐다. 당시 국내 시중은행은 7~9%의 이율로 대출을 해줬기 때문에, 3~4%의 낮은 이율로 일본 돈을 빌려 의료기관을 운영할 부동산을 마련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한 의료계 종사자가 많았던 것이다.

현재 엔화 당 원화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서 원금을 두 배 이상 갚아야 하고 부동산 가격은 경기 불황에 주춤하고 있다. 더구나 오는 2009년부터 원금상환 기간이 시작되기 때문에 1~2차 의료기관의 수난은 계속될 전망이다.

경기 하락에 따른 환자 감소
경제 여건이 급격히 나빠지면서 환자들의 의료기관 방문도 줄어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의료계는 암과 중증질환 등 생명과 바로 연계된 치료보다 당장 생활하는 데 큰 불편함이 없는 무릎·관절·척추·만성질환 등의 환자 수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공 의료기관은 보건소와 치열한 환자 확보 전쟁을 벌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보건소에서 저렴한 가격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처방전도 발행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린 공공 의료기관의 매출 감소가 염려되고 있다.

3차 의료기관의 살아남기 전략
3차 의료기관들의 보이지 않는 전쟁은 시작됐다. 정부가 수가를 2.0%밖에 올려주지 않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내부의 살림을 알뜰히 운영하는 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인건비를 줄이는 데 몰입할 것으로 보여 노조와의 갈등이 계속될 확률이 크다.

백화점식 전략도 점점 매력을 잃어가고 있다. 의료계는 이미 양적인 성장을 마쳤기 때문에 질적인 성장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서는 병원만의 색깔을 낼 수 있는 특화된 3차 의료기관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화의료원이 여성암전문병원을 신설하고 한림대의료원이 각 지역 별로 특화된 진료센터를 구축할 것이라고 선포했다. 이미 화순 전남대병원은 암센터를 다학재적 진료로 운영해 쏠쏠한 재미를 보고 있다.

암 센터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져 환자에게 큰 이득이 될 전망이다.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을 필두로 특화된 암센터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경쟁이 치열해져 치료 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의료기관 입장은 병행치료를 했을 경우 주 진단만 치료비를 청구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개선에 한계를 느낄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가 수가 문제를 해결해주지 않는 이상 뾰족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암센터의 질적인 성장은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향후 국내 의료시장의 흐름
5~10년 뒤에는 3차 의료기관에서 뛰어난 실력으로 유명해진 의료진이 독립해 ‘특화 분야’ 전문 의료기관을 세워 환자들을 상당수 확보해나갈 것이다.

환자에게도 3차 의료기관보다 대기시간도 짧고 진료효과도 좋으면서 치료비도 좀 더 저렴하기 때문에 특화 전문 의료기관이 매력적으로 보일 것이다.

단 실력만으로 독립적인 의료기관을 차리기 힘들기 때문에 정부에서 의료채권을 어느 정도 풀어주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사모펀드와 공모펀드 등으로 의료기관에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특화된 의료기관이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외국인 환자를 유치해 외화를 벌기 위해서도 정부의 개방적인 태도와 신속한 법 개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현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이 크고 시민단체와 노조 등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당분간 정부가 획기적인 정책 변화를 불러오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