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성 있는 분야 집중지원으로 효율 극대화 필요

정부의 신약개발지원자금이 여러 부처로 나뉘어져 집행되는 등 소액 분산 지원으로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는 지적이 업계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제약협회는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는데 최소 10년간 1조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할 때 연간 2∼3천만원 지원으로 소기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과 함께 신약개발지원자금 운영체계 전면개편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협회는 2002년 보건복지부 신약개발지원사업의 지원액 규모별 분포에서 3천만원 이하 지원사례가 전체액의 53%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예로 들며 선진국에 비해 열세를 면치 못하는 신약개발지원자금을 또다시 소액으로 분산 지원하여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건산업진흥원 발표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총 43개 제약사의 제품화 사업에 93억 원의 신약개발금액을 지원하였다. 이중 2∼3천만원 미만이 53%를, 1∼3억원 이하가 24%를 차지했다. 또한 3∼5억원 이하가 7%, 5억원 이상은 1%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제약협회는 이와함께 신약개발자금이 복건복지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등으로 나뉘어 집행되고 있어 업무중복 등으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약개발자금 지원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협회는 성공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선택하여 이를 집중 지원하되 현재 3개 부처로 분산돼 있는 신약개발 지원업무를 일원화하거나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해 효율 극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협회가 집계한 부처별 보건의료기술 관련 R&D사업 현황에 따르면 2003년도 의약품 분야 신약개발지원규모는 421억원 규모로 과학기술부가 165억원, 산업자원부 93.5억원, 보건복지부가 162.8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