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의 자율적 정화으로 더욱 빛나길 기대

정부가 암 조기검진 사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의료계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최대한 살린 정책을 펼치고 있다. 암 조기검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관리를 의료계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한 ‘암 검사실 인증사업’이 바로 그것.


 


보건복지가족부는 국립암센터를 통해 ‘암 검사실 인증사업’을 위탁했고, 암센터와 대한영상의학회, 대한병리학회, 대한세포병리학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등은 의료기관의 암 검진 결과가 정확한지 조사할 예정이다. 이 사업의 의미는 의료계가 자율적으로 암 검진과정을 정화한다는 데 있다.


 


암센터 박은철 국가암관리사업단장은 “암 검사실 인증사업은 의료기관의 부담을 줄이면서, 암 검진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며 “올 해는 검진 결과의 신뢰 여부를 판단하는 가이드라인을 5월 말까지 지정해, 종합병원부터 인증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계의 적극적인 움직임


 


박 단장에 따르면 인증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전문가로 구성된 의료학회가 직접 관리에 나선다는 것.


 


그는 “비록 정부의 예산지원금이 풍족하지 않지만, 참가 학회의 열의는 대단하다”며 “학회 스스로가 암 검사 결과가 정확한지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평가 아이템 등을 한창 개발 중이다”고 말했다.


 


학회가 예산 등 다소 버거운 현실에도 열심히 하는 이유는, 훗날 국민들의 삶이 더욱 건강해질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그 역시 “인증사업은 예산보다 더 큰 투자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의료기관의 고충


 


암 조기검진 사업의 신뢰성 문제가 그동안 지속적을 제기돼 왔다.


 


특히 일부 병의원급의 검진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암 검진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의료기관은 검증받아야 한다는 ‘암 검사실 인증사업’을 추진해왔다.


 


아직 검증이 시작되지 않았지만, 일부 의료기관은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혹여 인증사업에서 나쁜 성적표를 받으면 큰 제재를 받을까 두려움이 크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박 단장은 “의료기관의 편의를 최대한 봐주는 쪽으로 검진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형병원 위주로 실시하고, 병원 측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는 것. 만약 재 인증이 필요하다면,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진행할 것이라도 덧붙였다.


 


그는 “올 해는 280여 개의 종합병원이, 내년에는 600개의 병원급이, 내후년에는 1200개 의원이 암 검진사업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마다 순차적으로 참여 의료기관을 나눈 이유는 작은 의료기관이 인증사업을 충분히 준비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


 


그는 “병원급이나 의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라며 “암 조기검진 중 1/4 이상이 대규모 종합병원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도 종합병원이 먼저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의료기관의 편의를 위해 ▲인증사업의 자료는 의료기관 측이 제공한 것만 사용 ▲인증 사업을 3년에 1회 실시 ▲재 인증을 받아야 할 경우, 문제된 부분만 점검하는 등 의료기관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방안 검토 등 다양한 대책을 고려 중이다.


 


박 단장은 “지역별로 암 발병율이 큰 차이를 보이고, 검진율도 선진국에 비해 25%포인트 이상 낮은 45%에 불과하다”며 “암 조기검진이 암 발병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습관인 만큼, 국민의 건강을 위해 인증사업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