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PPA 감기약 파동이 있은지 1년.

최근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주사제 부작용 논란이 지난해를 돌아보게 한다.

당시 정부는 의약품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 담당조직 및 기구의 창설을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실제 안전성 담당 인력의 충원 규모는 미미했고 조직 신설 등은 아예 진행조차 되지 않았다.

이같은 실질적인 의약품 재심사에 대한 기반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떤 조치가 나올지는 뻔하다.

부작용 문제의 직접적인 원인이 제약사나 의료기관에 있을지는 후에 밝혀지겠지만 현 상태로는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악순환이 계속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경기도 주사제 부작용 논란은 의료기관의 주사용수가 오염됐기 때문으로 결론내려졌지만 이번에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주사제를 사용했음에도 문제가 불거진 만큼 관련 의약품에 대한 더 세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번 사태를 거울로 삼아 지난해의 ‘악몽’을 되살리지 않도록 정부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