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와이쓰(Robert Weiss)가 쓴 ‘고독한 사회악’을 보면 사람이 살아가면서 이웃과의 만남이 단절되었을 때가 가장 고독한 때라고 했다.

조직적인 삶을 영유하는 인간은 만남을 시작으로 행·불행의 맛을 음미하면서 인생을 엮어간다.

이같은 관계를 역설한 사람 중 ‘마틴부버’는 그의 저서인 ‘나와 너’에서 인간관계는 나와 너(I and You)의 관계가 아니면 나와 그것(물질)(I and it)의 관계라고 했다.

그렇다면 이렇게 소중한 우리들의 만남을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며 맞이해야 하는 것일까?

앞서 언급했듯 인간은 만남이란 것으로부터 삶이 시작된다

환경과 만나게 되고 엄마를 만나게되고 친구를 만나고, 연인으로, 부부로, 또 다른 사람을 만나며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뜨게되는 것이다.

그런 삶 속에서 어떤 이는 일평생 행복을 느끼며 살고, 또 어떤 이는 불행을, 또 어떤 이는 기쁨과 슬픔을 만나 눈물을 흘리며 여정을 보내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이 인간이란 구조적으로 한 조직체에서 시시각각 만남을 통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운명을 지니고 있는 사회적 동물이다.

그런 연유에서 환경과 사람을 잘 만나게 되면 축복을 받은 자가 되고 복 받은 자가 될 수 있지만 잘못된 만남이 될 경우에는 어려운 환경속에서 환난과 시련의 고통을 당하는 불행한자가 될 수밖에 없다.

지금 이 순간에도 축복된 만남으로 행복감에 젖어 웃고 있는 사람이 있는 가 하면 잘못된 만남으로 자신에게 다가온 불행과 실패로 인한 슬픔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채 울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살다보면 즐거움도 있고 괴로움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기쁨이나 슬픔이 모두 오래는 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일치에서 만나게 되는 우리의 만남이다.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 자신의 행복과 불행이 선택되어질 수도 있다.

좋은 사람을 만난다는 건 곧 ‘복’ 이다. 좋은 만남이란 인격적인 만남이다.

좋은 만남이 되기 위해서는 그 만남의 시간이 즐겁고 편안해야한다. 아울러 자기를 던져 남에게 베푸는 삶이 되어야 한다.

우리들의 마음은 모든 것을 다 퍼내도 줄지 않고 또 모든 것을 다 담아도 넘치지 않는다.

성경에도 좋은 만남을 통해 축복을 받은 자들이 있다.

재력은 있으나 유대백성들에게 왕따를 당하며 심지어는 사기꾼 매국노라고 욕을 먹던 세리장 삭게오는 예수님을 만남으로 인해 참 사랑을 알게 되었고 평안한 삶을 찾아 기쁨은 누릴 수가 있었다.

또한 간음을 한 여인도 발각되어 돌팔매로 ‘영’과 ‘육’이 완전히 찢길 찰나에 예수님을 만나면서 죽음에서도 해방되는 등 영혼이 구원받은 것을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정치인들의 행태를 보면 참으로 안타까운 맘이 든다.

저렇게 물고 헐뜯고 하는 모양을 보면 분명 저들은 잘못된 만남이 된 것 같다.

굳이 유행가 가사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우리의 만남은 우연이 아니라 바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남이 있으면 당연히 헤어짐도 있는 법. 그것이 어쩜 ‘인지상정’(人之常情)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그런 이별속에서 또 다시 만나 해후를 할 수도 있다.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이 있듯 우리의 만남이 원수처럼 되어서야 쓰겠는가?

좋은 만남을 갖기 위해서는 늘 자기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하루의 일을 곰곰이 생각하다보면 잘못된 일, 또 얼굴이 붉어질 정도의 무안함, 미안함, 그리고 고맙고 감사한 사람들, 불쾌했던 사람들의 모습이 떠오를 것이다.

아울러 자신의 마음이 ‘고마운 마음’과 ‘미안한 마음’ 에 대해 그토록 무뎌질 정도였나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우리였기에 좋은 만남을 가지면서도 그 만남이 소중한지를 모르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무엇이 그리 바쁜지 일상의 삶 속에서 자신을 들여다본다는 것이 곧 다른 사람을 헤아리는 일임을 미처 알지 못했고 또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전하려면 남의 마음을 먼저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도 잊고 살고있다.

무엇인가를 위해 꾸준히 배우고 익힌다면서도 점차 이기적인 삶을 살고있다.

사람이란 항시 남을 통한 배움이 있게 마련이다.

부족한 사람에게는 부족함을, 넘치는 사람에겐 넘침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세상은 혼자만이 살 수 없는 조직 사회다.

그런 조직사회에서 우리가 아름다운 만남으로 아름답게 살기 위해서는 적어도 ‘미안합니다’ 와 ‘고맙습니다’라는 말은 아끼지 말았으면 한다.

아무리 인색한 삶일지라도 고마움과 미안함을 갖는 마음만이라도 가져야 할 것 같다

고맙다고 하니까 더 고마워하고 미안해 하니까 상대방이 더 미안해한다.

아울러 고맙다고 감사하면 미안해하고 미안하다는 말엔 고맙다는 말을 나누게 된다.

이렇게 고마움과 미안함을 분명하게 할 때의 만남은 아름다운 만남이 되는 것이다.

다소 어색할지는 몰라도 자꾸 입을 열어 고맙고 미안한 마음을 나타냈으면 한다.

그러다 보면 이 세상에 위로할 일도 많아지고 축하할 일도 많아진다 또 서로를 위로하고 위로 받고 서로를 이해하는 가운데 가까운 사이가 되며 아름다운 사회, 밝은 사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필자의 경우 언론에 종사하다보니 현장에서 많은 이들을 접하게 되는 데 다른 부처에서 우연히 만날 경우 그렇게 반가울 수 가 없다.

특히나 그들이 먼저 알아보고 아는 체를 할 때는 삶의 보람을 느낀다.

권위와 교만함이 대단한 것처럼 보일지라도 알고 보면 대단히 추한 것이다.

아울러 겸손과 낮춤이 별것 아닌 것 같아도 알고 보면 대단히 아름답고 귀한 것일 수도 있다.

‘나’와의 만남이 모두의 기쁨이 되고 ‘나’가 없을 때 생각하며 그리워하는 사람이 되어야한다. 정녕 함께 하지 못해도 마음을 주고 싶은 그런 사람이 되어야한다

좋은 만남으로 서로를 위하는 사랑의 열매가 주렁주렁 열리는 밝은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논설위원 안호원(사회·교육학박사,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