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호종 교수
전호종 교수

아이를 키우다 보면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아이가 무엇인가를 입에 넣어 삼켰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외과 전호종 교수의 도움말로 아이가 이물질을 삼켰을 때 급하게 병원으로 가야 하는 상황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다. 세상을 알아가기 위해 본능적으로 모든 촉각을 동원한다. 그중에 가장 쉽고 유용한 자극이 손과 입이어서 무언가를 자꾸 입에 넣어보거나 집어 먹는다. 주로 먹음직하게 생긴 장난감, 건전지, 동전, 안전핀, 자석 등을 입에 넣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사회적으로도 이슈가 되어서 제조사도 주의 조치를 시행하고 있고 예민한 보호자들은 정보를 접하고 아이들에게 조심하라고 이르지만, 이물을 삼켜서 응급실에 오는 환아들은 항상 있다.

팔다리에 힘을 주기 시작하는 생후 6개월 부터 제대로 된 인지능력이 생기는 4세까지가 주로 보고 되는 연령이다.

이물을 삼킨 직후에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아이가 무엇인가를 먹었는데 보호자도 모르는 상태에서 배설물과 같이 이물이 모두 배출되면 다행이다.

그러나 아이가 이물을 삼켰는데 보호자도 모르는 상태에서 한동안 아이에게 문제가 진행 돼도 알지 못하다가 나중에 발견되어 문제가 커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우는 아무래도 일찍 발견하여 처치했을 때보다 합병증이 생길 우려가 있고, 예후도 좋지 않다.

치료가 필요한 위험 이물

대부분 위험하지 않은 이물들은 배설물과 같이 잘 배출되므로 아이가 이물을 먹었다고 해서 무조건 입원 치료를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삼켰을 때 위험해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한 이물들이 있다.

먼저 칼조각, 핀 등 날카로운 것은 소화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크기가 5cm를 초과하는 이물은 식도 또는 장의 각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배출되지 않고 장관 막힘을 유발할 수도 있어 위험하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로 대표적으로 뉴스에도 나온 ‘개구리알’ 장난감이 있으며, 이는 물을 먹으면 크기가 커져서 장관 막힘을 유발할 수 있고 엑스레이 검사에서 잘 보이지 않아 진단이 늦어질 수 있는 위험한 이물이다.

이밖에 2018년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어린이 자석완구 등 안전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자석은 대표 위험 이물로, 이미 2015년 이후부터 외국에서도 제품마다 경고 메시지를 의무적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는 알록달록 맛있게 생긴 구슬자석이 자주 보고되고 있고 2개 이상을 삼켰을 때 천공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이물이다.

마지막으로 버튼형 알칼리 건전지는 주로 약하고 좁은 소화관인 식도에 걸리는 것이 문제다. 식도가 약하고 좁은 기관이다 보니 주변 조직에 대해 압박괴사, 전류손상, 알칼리 손상 등으로 짧은 시간 내에도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한 식도천공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치료보다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

아이가 위험 이물을 먹은 것이 확인되거나 발견되면 먼저 검사를 통해 이물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물이 식도나 위에 있는 경우 응급내시경을 통해 꺼내주는 것이 좋다.

특히 식도에 걸린 버튼형 알칼리 건전지는 되도록 빨리 꺼내야 예후가 좋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또는 검사 때 이미 위를 넘어 소장에 이물이 위치한 경우에는 수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입원해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증상 없이 이물이 소장과 대장을 넘어 배설물과 같이 배출되면 특별한 치료 없이 문제가 해결되지만, 증상이 나타나거나 2일 이상 이물이 같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장관 막힘 또는 장관 천공 등을 의심할 수 있다.

이때는 수술적 개입을 통해 이물을 꺼내고 필요한 경우 장절제 또는 재건등의 소화관의 치료를 시행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치료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아이가 위험한 이물에 노출되어 응급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자가 주의를 기울이고, 사회적으로도 예민하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도움말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외과 전호종 교수>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