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서 드러났듯이, 국내에서 신약 개발의 어려움을 여실히 입증하고 있다.

SK 바이오사이언스와 셀트리온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는 거의 사용되지 못했다.

지금까지, 국내 제약업체가 개발한 신약은 36개에 이르지만,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다.

이런 현실에서, 정부가 2027년까지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신약 2개를 개발하고, 연매출 3조 원이 넘는 빅 파마 3곳을 육성해 바이오헬스 글로벌 6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제3차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이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의 뼈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코로나19 제품의 개발에서 보인 전철을 되풀이하지 말고, 정부의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정부의 의지와 육성 방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효율적이고 실질적 시행계획과 파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파격적 세액공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미국은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직·간접적으로 319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 반면, 우리 정부는 5853억 원을 책정했지만, 실제 집행은 절반 정도에 그쳤다.

계획만 거창할 것이 아니라, 국내 제약사가 실패와 사업성을 무릅쓰고 뛰어들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와 인센티브가 필요한 이유다.

이번 제약바이오 육성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산업계, 전문가의 협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