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최우선 도입 과제 선정 및 모형 발굴 다짐

장기요양분야도 ‘인공지능기술’ 적용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급격한 고령화로 수급자 증가, 개인 맞춤 서비스 요구 등 장기요양 전 분야의 업무량이 급증한 반면 공단의 인적자원은 한정됨에 따라 업무 전반에 대한 효율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건강보험공단은 최근 ‘장기요양분야 인공지능기술 적용방안’ 연구 계획을 통해 “장기요양 관리운영 전반에 대해 인공지능 기술 및 특성 등을 고려한 최우선 도입 과제를 선정하고 적용 모형을 발굴할 것”이라는 계획을 알렸다.

건보공단은 “인정조사·이용지원 등 대면업무가 대부분인 장기요양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업무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면서 “IT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업무로의 전환 등 스마트한 업무방식으로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공단의 업무 효율화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을 추가 발굴해 비대면 업무로의 전환을 꾀하려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공단은 “장기요양 급여비용 심사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심사모형을 개발하고, 수급자단위 급여제공기준 확인심사에서 기관단위 청구경향을 반영한 심사로 전환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질 수준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장기요양 전 분야의 업무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분석하고, 필요한 데이터 발굴 등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 적용 시 효과성이 높은 과제를 우선 발굴하고 적용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먼저 ▲인정조사 ▲이용지원 ▲급여비용 심사 ▲평가체계 등 단위과제에 대한 인공지능 도입 적정성 분석을 시작한다.

이어 인정조사, 상담 등 대면 중심의 업무를 IT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 업무로 전환 가능한 분야를 발굴한 후 인공지능 기반 모형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심사·부당청구 분야의 인공지능 도입 관련 국내 및 해외사례를 조사하고, 급여비용 심사, 현지조사, 급여사후 업무 프로세스 등에 관한 인공지능 모형을 개발한 후 개발된 모형의 업무 활용방안을 검토한다. 

기관의 청구경향, 대표자 및 종사자 특성(행정처분, 부당청구 가담이력, 근무형태 등) 분석을 통해 부당청구경향 예측 지표를 마련한다. 

또한 장기요양 분야의 인공지능 선행연구 및 관련법과 정책, 인공지능 도입 사례를 살펴보고 단위과제 우선순위 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청취한다. 

더불어 AI 적용 필요 분야 및 심사체계 개선 등에 관해 공단 직원들에게 피드백을 받은 후 축적된 데이트를 분석하고 연계 데이터의 결합성을 살펴보며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