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단계 연구 부재…일부 후보 초기 단계 연구

파이프라인에 잠재적 질병 수정 치료제가 거의 없는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환자들의 기대가 좌절됐다.

최근 로슈/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과 웨이브 라이프 사이언스(Wave Life Sciences)가 주요 임상시험을 중단해, 헌팅턴병의 미래는 더욱 암울해 보인다.

로슈‧웨이브 실패로

최근 로슈는 데이터의 중간 검토 후에 헌팅턴병 임상 3상을 중단했다.

사전 계획된 검토에서 효과 부족이 임상 중단 결정을 내리게 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아이오니스와 제휴한 안티센스 약품 토미너센(tominersen)과 관련된 새로운 안전성 징후가 없는 것을 발견했다.

IONIS-HTTRx와 RG6042로 알려진 토미너센은 변이된 유형인 단백질이 드문 유전적, 진행성 상태 헌팅턴병을 드라이브하는 HTT(huntingtin protein)의 생산을 줄이기 위해 디자인됐다.

HTT는 검증된 표적이지만, 전통적 양식을 통해 단백질을 약물화하는 어려움은 아이오니스 등 선두 기업들은 새로운 각도에서 문제 해결 노력을 유도하는, 헌팅턴병에 주요 니즈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오니스는 2017년 로슈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고, 안티센스 치료제 토미너센의 연간 최고 매출은 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로슈는 3상 임상에서 이전에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투여를 중단하고 있다.

오픈-라벨 확대도 일시 중단됐지만, 지난해 안전성 문제로 잠정 중단됐던 약동학적 임상과 자연사 연구는 계속될 예정이다.

로슈는 데이터를 분석한 후 다음 단계를 결정할 예정이지만, 현재 상태로는 토미너센에 대한 전망은 어둡다.

웨이브 라이프 사이언스와 다케다는 1/2단계 임상시험 중인 2개 안티센스 치료제에 대해 파트너십에 있다.

하지만, 웨이브는 초기 단계 임상시험에서 효능 입증에 실패해 2개 헌팅턴병 치료 후보인 WVE-120102와 WVE-120101 프로그램을 중단한다고 최근 밝혔다.

WVE-120101과 WVE-120102는 각각 SNP1과 SNP2 변이를 가진 환자에 대한 변이 헌팅틴 단백질(mHTT)의 발현을 줄이기 위해 디자인됐다.

약물은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mHTT의 감소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임상결과에서 WVE-120102의 최고 용량은 위약군의 0.8% 감소에 비해 뇌척수액에서 mHTT가 9.9% 감소했다.

WVE-120101의 별도 임상시험에서, 최고 용량은 위약군의 10%에 비해 11.6% mHTT 감소를 보였다.

WAVE-120101과 WVE-120102가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웨이브는 두 약물의 임상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파이프라인

토미너센과 WVE-120102, WVE-120101의 실패는 헌팅턴 병 약품을 개발하는 다른 개발자들에게 잠재적인 기회를 만들어 준다.

다케다는 최근 애니마 바이오테크(Anima Biotech)와 딜을 통해 전임상 mRNA 번형 조절제를 확보했고, 아르비나스(Arvinas)는 헌팅턴병에 단백질 저하 플랫폼을 적용을 모색하고 있다.

유니큐어(Uniqure)는 헌팅틴 유전자를 침묵시키고 잠재우고 그렇게 함으로써 mHTT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디자인된 마이크로RNA를 수반한 AAV5 벡터로 구성된 중간 단계 유전자 치료제 후보 AMT-130을 테스트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런 프로젝트는 관련 뇌 부위에 삽입된 카테터를 통해 투여함으로 생물학적 분배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PTC 테라퓨틱스는 HTT 단백질 수준을 줄이기 위해 디자인된 소분자 스플리싱(splicing) 조절제인 PTC518을 1상 임상에서 개발하고 있고, 건강한 참가자의 데이터는 올해 상반기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헌팅턴병의 파이프라인에 최종단계 개발에는 다른 것이 거의 없다.

한 3상 후보로, 뉴로크린의 지발성 안면마비 치료제 인그레자(Ingrezza)는 질병과 관련된 무도병에 시험하고 있을 뿐, 질병 수정 요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백시넥스(Vaccinex)의 페피네맙(pepinemab)은 2상 연구에서 실패했지만 회사는 개발을 계속하고 있으며, 중요 임상을 위한 파트너를 찾고 있다.

헌팅턴병은 승인된 치료제가 없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유전질환이다.

애널리스트들은 헌팅턴의 발전 부족에 대한 다른 가능한 설명은 mHTT가 올바른 타깃이 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사실이 밝혀진다면, 로슈, 웨이브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헌팅턴병 분야에 다른 커다란 실망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