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대한 방역당국의 대처 방식에 의구심을 나타내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1월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이후 8개월 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대응 방식은 그대로다.

7개월 넘게 코로나 사태가 잡히지 않으면서 방역당국의 대처방식을 놓고 의구심을 나타내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이 코로나19 확진자수와 항체검사 결과 발표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정부의 방역과 조사 방식에 논란이 일고 있다.

윤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검사자 수에 대한 언급없이 확진자 수만 발표하는 방식이 정부가 숫자조작을 통해 공포를 조장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1440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 항체검사에서 1명만 항체가 확인됐다는 발표에 대해서도 현행 봉쇄중심의 방역을 합리화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는 것이 아니냐고 했다.

국민의힘 지상욱 여의도 연구원장도 정보 공개가 투명하지 않아 국민 불신을 가중시킨다면서 ‘정치 방역’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한 SNS에는 현직 의사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에게 보냈다는 공개질의서가 유포돼 관심을 끌었다. 작성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성격과 특성을 파악 못한 채 무조건 격리 방식의 방역만 고집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의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지적했다.

보건복지부는 진단검사 결과에 대한 조작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간단한 설명만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있다.

정부가 반대 목소리를 내는 집회를 금지하기 위해 과도한 ‘정치 방역’을 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

일상생활이 방역 대상이 되면서 경제·사회 활동 전반을 위축시키고 있다.

획일적인 조치는 과잉 대응 및 정부 주도 방역으로 이어진다.

획일적 규제보다 상황에 맞춰 융통성 있게 개인 책임 하에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 예방 수직을 준수하는 능동적 방식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