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 진료와 상호보완 활용시 효과 극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비대면 진료가 일차의료와 만성질환, 주치의제 중심의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국회 정책포럼에서 제기됐다.

커뮤니티케어에 비대면 진료를 적용하고 대면 진료와 상호보완 활용을 할 경우 ‘상담·진단·치료’의 ‘올인원 의료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와 주목된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는 지난 17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진성준, 윤재갑, 민형배 국회의원(이상 더불어민주당) 주최, 대한한의사협회 한의학정책연구원(원장 이은경)과 한의신문사 공동주관으로 ‘제2차 한의약정책포럼 –포스트 코로나 대응 한의약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상이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의료 개혁방안으로 원격의료 활용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커뮤니티 케어에만 적용되는 원격의료를 지역사회 중심의 미래형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해 활용한다면 모두가 공감하는 원격의료 도입 방안을 도출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원격의료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의 안전성 문제, 동네의원의 경제적 손해, 대형병원의 쏠림현상 등으로 일차보건의료 체계가 무너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원격의료를 의료전달체계 확립과 커뮤니티 케어에만 적용해야 이해단체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미래형 보건의료체계’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모델의 세부적 항목은 의사가 원격의료 모니터링과 상담, 방문간호사와 연계해 환자의 의료적 처치와 처방을 원격 시행해 주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의원과 요양병원(일차의료 담당 지역 병원)만 커뮤니티 케어의 원격의료를 제공하며, 노인과 장애인 등 거동 불편 인구로 제한하는 등의 정책을 통해 원격의료 반대 이유는 대부분 제거되고 선한 기능만 남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혁용 대한한의사협회장은 ‘코로나 대처와 비대면 진료’를 주제로 한 두 번째 발제를 통해 일차의료와 만성질환, 주치의 중심의 비대면 진료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역설했다.

최 회장은 “수 년 간 논란이 되었던 비대면 진료가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각광을 받고 있으며, 실제로 은평성모병원의 조사에 따르면 87%에 이르는 환자들이 만족한다는 결과가 있었다”면서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비대면 진료가 만성질환, 주치의제 등 환자중심의 의료의 발판이 될 것임을 증명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대면 진료를 일차의료기관 중심으로 추진한다면 무너진 의료전달시스템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정부 역시 국민과 의료인들에게 대면진료와 비대면 진료가 대립이 아닌 환자의 입장에서 상호 보완하는 개념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