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협회, 제네릭 글로벌화·공동생동 1+3 방안 등 제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중소 제약사의 생존을 위해서는 내수 위주의 제네릭 개발에서 벗어나 글로벌화하는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최근 중소 제약사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공동생동 제한 문제는 선제적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사진)은 17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올해 회원사의 개별 이익을 넘어 건강한 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협치에 주력할 뜻을 밝혔다.

원 회장은 "현재와 같은 제네릭 위주의 중소 제약사는 생존이 힘든 환경이 됐다"며 "지금까지의 패러다임이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약개발이 어려운 중소 제약사의 경우 파머징 시장을 타겟으로 한 제네릭 의약품 진출을 모색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정부간 채널(G2G)을 통해 최근 성과를 낸 대표적인 사례로 CIS(독립국가연합), 베트남 방문 등을 꼽았다.

원 회장은 "이들 국가는 한국 제약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면서 "우리 제네릭 기술과 중소기업의 특장점을 모아서 공략한다면 제네릭 시장의 세계화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이 또한 정부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발사르탄 사태를 통해 불거진 공동(위탁)생동 제한에 대해서도 '1+3'이라는 명확한 입장을 전했다.

원 회장은 "중소 제약사의 반대도 있었지만 내부적으로 1+3 방안으로 정리해 식약처에 제시했다"며 "공동생동 폐지가 목표라고 하더라도 업계의 충격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CSO 문제나 리베이트 등 업계의 부정적인 일들은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공동생동은 (1+3 방안에 대해) 현재 식약처와 의견을 조율 중"이라고 덧붙였다.

제약바이오협회가 중점 추진 중인 AI(인공지능) 신약개발센터 설립도 올해 가시화될 전망이다.

원 회장은 "AI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은 중소 제약사로서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올해 별도 법인을 설립해 AI 기반의 플랫폼 구축, 대규모의 중장기 과제 추진에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민관 협력을 넘어 이제 협치 단계로 나가야 한다"며 "정부가 국가지원에 대한 선언적 절차를 거치면 제약산업은 현재 갖고 있는 잠재력이 폭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