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새 환자 9만명 늘어…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필요

가슴 중앙 부분에 느껴지는 압박감이나 쥐어짜는 듯한 느낌이 드는 협심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심증은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혈관질환으로 인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2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2012년~2017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협심증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2년 55만 1000명에서 2017년 64만 5000천명으로 매년 약 3.2%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하면 2012년 1,110명에서 2017년 1,267명으로 나타났으며, 협심증 진료에 지출한 총진료비는 2012년 5,660억 원에서 2017년 7,701억 원으로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27만 4천 명, 42.4%)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19만 7천 명, 30.6%), 50대(12만 1천 명, 18.8%)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13만 5천 명, 36.3%)이 가장 많았고, 60대(12만  명, 32.3%), 50대(7만 9천 명, 21.4%)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13만 9천 명, 50.8%)이 가장 많았고, 60대(7만 7천명, 28.3%), 50대(4만 2천 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협심증 진료환자를 분석해 보면, 50대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70대 이상이 가장 많았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70대 이상이 7,228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0대 4,494명, 50대 1,902명 순으로 많았으며, 여성도 70대 이상이 5,154명, 60대 2,762명, 50대 1,009명 순으로 많았다.

오성진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협심증은 가슴 중앙 부분에 느껴지는 압박감, 쥐어짜는 듯한 느낌, 또는 통증, 걷거나 뛰거나 층계를 오르는 등의 운동 시 발생하며 갑자기 발생하기 보다는 서서히 심해지며 대개 5분 이내로 지속되고 휴식이나 약물 치료에 의해 소실된다"면서 "원인은 심장 근육이 필요로 하는 혈액을   공급받지 못해 생기며 주로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쇄로 인해 생긴다"고 설명했다.

이어 "협심증의 전통적인 위험 인자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와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고, 흡연을 하지 않으며, 정기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