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등 기억 관련 질병 치료 새로운 이정표 제시

국내 연구팀이 기억이 저장되는 장소, 즉 기억저장 시냅스를 찾아 냈다. 이는 기억이 신경세포의 시냅스에 저장될 것이라는 70년 전에 도널드 헵이 제안했던 학설을 최초로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서울대 강봉균(사진) 교수 연구팀이 시냅스(synapse)를 종류별로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 뇌에서 기억이 저장되는 ‘기억저장 시냅스’를  찾아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27일 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한 신경세포의 수천 개의 시냅스들을 종류별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dual-eGRASP)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억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를 연구했다.

그 결과 수많은 시냅스 중에서도 학습에 의해 구조적‧기능적으로 변화가 있는 ‘기억저장 시냅스’를 명확히 규명했다.

강봉균 교수는  “향후 기억을 연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여 치매,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등 기억 관련 질병 치료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