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토린, 제네릭 출시 여파 고스란히 반영

복합제 여파 영향…리바로 성장 눈에 띄어

고지혈증치료제 시장의 선두주자로 제네릭과 복합제 출연에도 강한 면모를 드러냈던 화이자의 리피토가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며 결국 고개를 숙였다.

리피토는 지난해 3분기 405억원대 처방을 올리며 선전했으나 올해 2분기 389억원대로 하락하며 복합제와 제네릭 수세를 고스란히 반영했다.

고지혈증치료제 시장에서 견고한 성장추이를 보였던 바이토린 역시 올 3월 제네릭 출시 이후 추락을 거듭하며 104억원대 매출을 81억원대로 주저앉았다.

다만 JW중외제약의 리바로만이 고지혈증치료제 단일제 시장에서 유일하게 성장하며 의미 있는 성적을 드러냈다.

메디팜스투데이가 고지혈증치료제 처방실적(유비스트)을 분석한 결과 리피토는 지난해 하반기 816억원에 달했던 처방액을 올해 상반기 779억원대로 끌어내리며 하락세를 지속했다.

리피토는 그동안 제네릭 출시와 약가 인하, 복합제 출시에도 강한 면모를 드러냈으나 올해 들어 복합제 수요의 증가와 제네릭 시장의 흡수가 강해지면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리피토와 경쟁하며 시장을 양분했던 크레스토 역시 비슷한 추이를 보이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크레스토는 지난해 3분기 184억원대 처방에서 올해 2분기 176억원대 처방에 그치며 하락 추이를 거듭하고 있다.

MSD의 대표 고지혈증치료제인 바이토린은 제네릭의 수세에 무릎을 꿇었다.

바이토린은 지난 3분기 104억원대 이르던 처방액이 올해 2분기 81억원대를 보이며 23억원 가량 증발했다.

고지혈증치료제 단일품목 유비스트 현황. 증감율은 지난 3분기 대비 올 2분기 기준. 단위 백만원

MSD 조코 역시 지난해 3분기 5억원대 중반에서 올해 2분기 4억원대 중반을 찍으며 처방시장에서 맥을 못 췄다.

전반적인 단일제 하락 속에 JW중외제약 리바로는 유일하게 성장하는 기염을 토했다.

리바로는 지난해 3분기 110억원대 처방에 그치다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올해 2분기 126억원대 처방을 기록했다.

리피토 & 리피토 제네릭 전반적 하락세

리피토의 하락 여파는 고스란히 제네릭에도 반영됐다.

다만 오리지널 품목인 리피토가 한 해를 지나며 4%대 하락한 반면 제네릭군은 회사별로 마이너스 폭에서 차이를 보였다.

제네릭 품목의 대표주자인 종근당 리피로우는 지난해 3분기 120억원대 처방에서 올해 2분기 118억원대 처방실적을 보이며 1.8% 하락하는데 그쳤다.

반면 유한양행 아토르바와 대원제약 리피원은 지난 3분기 대비 각각 8.1%, 7.4% 하락한 98억원과 33억원대 처방에 그쳤다.

동아에스티의 리피논은 제네릭 품목 중에서 가장 큰 폭의 마이너스 추이를 보였다.

리피논은 지난해 3분기 77억원에 달하던 처방액을 올해 2분기 63억원으로 떨어뜨리며 19%나 하락하는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