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공기오염 공동조사, "공기오염 위험 수준"

서울지역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가구 등 공동주택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공기 오염도가 심각해 알레르기 등 호흡기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김형아 교수와 일본 산업의과대학 산업보건학부 아라시다니 교수가 공동으로 서울과 일본 키타큐슈 시의 공동주택 거주자 각각 11명을 대상으로 공기오염물질 노출정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를 통해 나타났다.

이 연구 조사는 김형아 교수가 일본을 직접 방문, 지난 7월 19~31일 사이에 진행됐으며, 서울·인천에서는 9월 17일~10월 6일까지 면목동, 길음동 반포동 등 11군데서 이뤄졌다.

이번 연구는 두 지역의 공동주택 거주자의 실내 및 실외 그리고 개인(직접 측정기 부착) 등 3부분으로 나뉘어 개인수동포집기를 이용해 공기오염 물질의 24시간 농도를 측정했다.

측정결과, 6종의 알데히드류(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이소발러르알데히드 및 노말-발러르알데히드)의 농도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제외한 모든 알데히드류에서 서울지역의 실내, 개인 및 실외 농도가 높았다.

더욱이, 알레르기성 질환의 유병율을 증가시키는 원인인자이며 환경부의 우선 고려대상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하나인 포름알데히드의 실내 평균농도가 70.8 58.2ppb로 WHO가 정한 실내기준 80ppb에 근접했다.

특히 서울의 11군데 중 신림동, 개포동, 길음동, 고척동 등 4군데는 WHO 실내 오염기준을 훨씬 초과하였을 뿐 아니라 최고 220ppb 까지 나타난 곳(길음동)도 있었으며, 이와 함께 개인농도가 80ppb을 넘었던 곳이 개포동, 반포동, 길음동, 고척동 등 4군데(최고 99.6ppb-개포동)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대기오염물질 중 폐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소아에게 폐활량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이산화질소(NO2)의 실내, 개인 및 실외 농도를 분석한 결과, 서울지역이 각각 20.8 6.4, 23.2 4.7 및 27.1 8.5ppb로 키타큐슈(각각 9.3 3.4, 9.2 2.6 및 10.9 3.7ppb)보다 2배 정도 높게 나왔으며, 실내/실외 농도비가 0.8로 실외 농도가 실내보다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김형아 교수는 "이번 예비조사 결과, 이산화질소 및 프로피온알데히드 농도, 특히 호흡기질환에 악영향을 미치는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서울지역이 높은 이유 등을 규명하기 위한 공기오염물질의 실내외 발생원 조사와 노출기준을 정하기 위해 건강과의 관련성 조사 등 역학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