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티스 등 환자지원 명분 판촉 수단으로 활용

다국적제약사들이 글리벡, 에이즈치료제 등 신약을 무기화해 겉으로는 환자를 지원하는 것처럼 위장해 돈벌이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뉴욕타임스는 5일 일부 다국적제약사들이 환자 무상지원사업등을 판촉수단으로 활용, ‘의약품은 환자를 위한 것이지 기업의 이윤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는 제약업체의 이념을 무색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도에 따르면 노바티스는 2001년 5월 글리벡의 시판 승인을 받으면서 전세계적으로 전개한 저소득층 대상 글리벡 무상공급 사업이 연간 약 판매액 10억달러 달성을 위한 판촉용에 불과하다.

노바티스는 미국 가격 기준으로 1년 약값이 3000만원을 넘는 이 약을 지금까지 외국인 1500명에게 제공했다. 그러나 최근 인도가 대체약 비낫을 생산하자 인도인을 수혜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인도는 아직 의약품의 국제특허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특효약의 복사품이 빠르게 개발돼 시판된다. 이런 점을 의식한 노바티스는 인도인 대상 무상공급을 시작할 때부터 대체품 생산을 허용하면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고, 실제로 지난 1월 값이 자사 제품의 13%에 불과한 대체품이 등장하자 5월부터 신규 수혜신청자를 받지 않고 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홍콩·뉴질랜드 등에서는 이 약의 의료보험 수가를 높이기 위해 수혜자들을 이용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회사는 또 한국에서는 글리벡 공급가격 협상 과정에서 환자들에게 약값 일부를 보조해 주겠다고 제의하는 등의 분위기 조성을 통해 결국 값을 20% 올리는 데 성공했으며, 홍콩 정부와의 가격협상 때는 수혜자들에게 무료공급 중단을 통보함으로써 간접적인 압력을 넣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뉴질랜드에서도 같은 방법을 쓰자, 보건담당 관리가 “정부가 약값을 지원하도록 압력을 넣으려는 시도”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글리벡 무상공급 실적 또한 이 회사가 판촉을 위해 이 사업을 벌인다는 비판을 뒷받침한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약을 받은 외국인 1500명 가운데 44%가 거대시장으로 꼽히는 인도에 몰려 있고,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49개 나라 국민 가운데 혜택을 본 이는 단 11명에 불과하다.

이외에도 다국적제약사들이 신약을 이용해 돈벌이에만 급급하다는 비판이 일자 마지못해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나섰다.

전세계 구호단체들은 아프리카 등 전세계에서 매년 3억명이 에이즈, 말라리아, 결핵 등에 걸려서 고통받고 있지만 돈벌이에만 급급한 다국적 제약기업들은 이런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를 의식해 미국 정부는 지난달 말 아프리카 에이즈 예방을 위해 150억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고, 유럽연합도 최근 빈국에 대한 3대 의약품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정작 WTO 차원의 빈국에 대한 의약품 저가 공급 협상은 다국적 제약업계의 비협조로 사실상 결렬된 상태라고 신문은 전했다. 이 때문에 세계무역기구 협상 전체를 거부해야 한다는 비판까지 제기되는 등 제약회사들의 비윤리에 대한 비판은 날로 확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