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약 라이센스 등 상위사에 집중

의약분업 이후 국내제약업계의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가속화 되면서 업체간 인수합병 등 구조조정의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제약업계는 분업이후 올들어 처음으로 실적이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자 제네릭 신제품 확보 등 생존을 위한 다양한 전략마련에 들어갔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해외의 유망 신제품 확보 및 자체 기술을 통한 신제품 개발력에 있어 상하위사 간의 능력차이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특히 주요 신제품 개발 및 외국약 도입 라이센스 체결은 상위사에 집중되고 있어 업계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함을 암시하고 있다.

이는 제도변화로 외국 제약사들의 국내 의약품 시장 진출이 용이해진데 따른 것이다.

국내 판권을 되도록 이면 마케팅 능력이 우수한 상위사에 넘겨 국내 시장지배력을 넓히기 위한 외국사들의 전략이기도 하다.

최근 수년간 주요 라이센스 계약이 단적이 예다. 대웅제약이 다이이치 제약의 가스모틴, 노바티스의 다이나써크, 산교의 올메사탄 등을, 한미약품이 산교의 카베닌, 가켄의 피브라스트, 애보트 클래리 서방정 등을, 동아제약이 GSK의 조프란, 쉐링의 누벨, 도야마화학 콜벳 등을 도입하는 등 주요 라이센스 체결은 대형사가 독식하고 있다.

올해들어서도 중외제약, 보령제약, 현대약품, 유한양행, 종근당 등 상위제약사에 외국약 국내 독점 판매 계약이 집중되고 있다.

이같은 오리지절 약 도입붐은 상위사와 하위사간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약업계 일각에서는 산업의 기반이 되는 중소제약사가 무너진다면 국내 제약산업도 더이상 발전할 수 없을 것이라며 외자사들의 배만 불리는게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

제약업계는 관계자는 "생존을 위해서는 제네릭과 신제품 개발 등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며 "이같은 추세라면 앞으로 중소제약사의 상위제약사 흡수 등 업계내 구조조정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 자료 자료실 첨부파일)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