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사회로 발달하면서 이 세상에는 직업이 이루 헤아릴 수조차 없을 정도로 많아졌다.

특히 지식의 양이 늘고 전문성의 폭이 커가면서 직업도 그에 비례해 다양해지고 세분화 해가고 있다.

이런 직업은 각기 그 나름의 독특한 역할이 있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중요성이나 지위, 그리고 일반인이 느끼게 되는 인식에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흔한 말로 직업에 귀천은 없다고 하지만 아무래도 현실적으로는 직업의 역할이나 인식이 다를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여러 직업 중 인간을 그 주대상으로 하는 직업과 인간이 아닌 물체를 그 대상으로 하는 직업 사이에는 분명 뛰어 넘을 수 없는 차이가 있다.

물체를 다루는 전기기술자, 토목기술자, 과학자 등과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 의사, 목사와의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똑같은 인간을 다루는 의사, 목사, 교사의 경우도 어찌보면 똑같은 것 같으면서도 엄격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의사의 역할은 자신을 찾아오는 인간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 보다 한 인간의 환부(患部)를 찾는 게 주요 대상이고 목적이다.

즉, 의사는 '노무능' '임신애' 라는 한 인간을 다루기 보다 이들의 위장병 등 질병을 상대로 하고 환자 역시 자기 전체를 의사에게 내맡기기 보다 자기의 환부만을 드러내어 의사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적중되기를 희망할 뿐이다.

이에 반해 목사(신부·승려)는 의사와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인간을 대한다. 제도적 뒷받침이 있는 목사이건 아니건 간에 목사라는 직업은 인간의 정신적 고뇌나 신앙, 종교라는 차원에서 육적인 것보다 인간의 정신적인 내면의 문제를 다루면서 인간 총체를 대상으로 삼는다.

이 두 개의 극단적 직업에 비해 교사(교수)라는 직업은 어떤 측면에서는 목사와 같은 역할을 필요로 할 때가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의사와 같은 역할을 해야 할 때도 있는 전천후 직업이라 할 수 있다.

전인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목사처럼 되어야 하고 좋은 성적을 내게 하려면 의사처럼 쪽집게가 되어야 한다.

의사, 목사, 교사 이들은 모두가 남을 가르치며 귀감이 되어야만 하는 사(師) 자(字)가 붙는다는 공통점이 있는 직업인이다.

이들이 사회에서 어떤 행위와 처세를 하느냐에 따라 사회가 밝아지거나 어두워질 수도 있다.

아울러 인간 개인에 대한 행·불행의 길을 다르게 할 수도 있어 그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잘못된 교육으로 인해 물질과 과학과 기능이 올바르게 선용(善用)되지 못하고 이를 악용하며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인간의 기계화로 메커니즘의 현상을 초래하는 등 인간성을 상실하면서 각박한 사회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물질의 풍요로움은 있지만 마음은 점차 빈곤해지고 소외감으로 불안과 회의감 속에서 자기 분열증에 빠지기도 한다.

어느 직업인들 인간에게 필요하고 유익하지 않은 것이 없겠지만 특히 이들 직업은 인간의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보다 '영(靈)' '육(肉)' 관계를 다루는 직업이기 때문에 그 어떤 직업보다 그 영향력이 크다.

밝고 맑은 세상을 만드는 것은 다 그들에게 달렸다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요즘 들어 의사, 목사, 교사들의 행태를 보면서 그런 생각이 드는 게 우연만은 아니다.

[시인.수필가]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