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소독

상처를 입었을 때 무조건 소독약부터 바르는 것은 옳지 않다. 상처부위에 흙이나 모래, 아스팔트, 나뭇잎등 의 지저분한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는 물로 상처를 깨끗이 씻어주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미지근한 물을 부어주면서 마사지 하듯이 피부에 이물질이 보이지 않을 때 까지 반복하여 상처를 씻어주어야 한다. 거즈나 깨끗한 내프킨을 사용해도 좋고 손으로 씻어도 좋다.

이물질이 박혀있는 상태로 소독약만 바르게 되면 흉터가 커질 뿐 아니라 세균 감염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때로는 상처치유 자체를 지연 시키게 된다. 상처 부위에 가피(딱지)가 앉게 하고 그 위에 소독약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같은 이유로 피해야 한다.

피와 삼출물(진물)이 말라붙으면 역시 미지근한 물로 부드럽게 마시지 하듯이 씻어주면서 녹여 없애는 것이 좋다. 지저분한 상처라면 처음 한번만 소독약을 상처에 발라주고, 이후에는 상처에 직접 바르지 않도록 한다. 상처를 깨끗이 한 후에는 깨끗한 거즈 또는 밴드로 덮거나 연고제등을 발라 피부의 오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상처에서 출혈이 심하다면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출혈이 스스로 멈추지 않는다면 피부 전층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단순한 상처 소독만으로 치유가 어렵고 봉합을 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출혈이 있을 때 상처부위에 거즈나 수건등을 대고 약 5분간 눌러주면 대부분 출혈이 멈추는데 이런 방법을 직접압박법이라 하며 가장 좋은 지혈법이다.

의외로 상처 윗부분을 노끈으로 묶어 지혈을 시도하거나, 지혈제란 가루약을 뿌리고 난후 의료기관을 찾는 이들이 많이 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잘못 알려진 상식으로서 지혈이 제대로 되지 않을뿐더러 상처를 악화시킬 수 있다. 약 5분간의 압박 후에 출혈이 멈추고, 몽글몽글한 피하 조직이 노출되지 않는다면 자가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이물질이나 가피(딱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상처부위의 건조를 막는 일이다. 정상적인 피부라면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피부세포가 말라서 괴사되는 일이 없겠지만, 상처가 나는 경우에는 수분이 증발하여 세균뿐 아니라 상처주변의 피부세포도 말라 죽게 된다. 당연히 상처치유가 늦어지거나 흉터가 커지고 죽은 세포가 이물질로 작용하여 감염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습식치료라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상처를 마른 거즈가 아니라 젖은 거즈로 덮어주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성형수술후에 식염수로 적신 거즈를 덮어주고 마르지 않도록 하루에 서너번 식염수를 뿌려주거나 거즈 자체를 바꾸어 주는데 상처 건조의 예방은 물론 피나 삼출물을 흡수하여 가피나 혈종의의 형성을 억제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이런 치료방법이 그리쉬운 일이 아니다. 거즈가 쉽게 마를뿐더러 세균감염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소 결과에 차이가 있겠지만 이를 대신할 간단한 방법으로 후시딘이나 마데카솔 같은 연고제를 사용할 수 있다. 후시딘은 항생제를 포함한 연고제이므로 세균감염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마데카솔은 양질의 육아조직(새살)이 자라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식물의 추출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들 연고제들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점성이 높아 수분증발을 억제하므로 본래의 효과, 효능보다는 피부건조 예방의 목적으로 더 자주 사용된다. 이들 연고제를 상처가 마르지 않도록 수시로 발라주거나 거즈에 묻혀 상처부위를 덮어주되 연고제 자체가 더러워지면 물로 깨끗이 씻어낸 후 다시 발라주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치료는 상처의 크기나 깊이가 가정에서 치료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상처에 국한되며, 이러한 경우에 연고제의 부작용을 염려할 필요는 없다. 물론 손상이 심하거나 당뇨환자, 항암제 또는 면역억제제 투여자, 부신피질 홀몬제 장기 복용자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베었을 때 응급처치

베인 상처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피가 나는 것인데 빨간 피를 보면 흥분되고 겁부터 나는 것이 사람의 기본적인 반응일 것이다. 그러나 피를 멈추게 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쉽게 피를 멈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마음을 가라 앉히고 상처를 잘 쳐다보면서 관찰해야 한다. 상처부위가 옷에 가려져 있는 부위인 때는 가능하다면 옷을 벗기는 것이 좋다. 피가 많이 나는 경우에 몸의 여기저기에 피가 묻을 수 있는데, 이런 때는 어디서 피가 나는지 잘 모를 수 있다. 그럴 때는 생리 식염수나 이것이 없으면 깨끗한 수돗물을 적신 가제로 피를 부드럽게 닦아 낸 후, 어

출혈 부위를 확인하면 반은 처치를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다음에는 피가 나는 부위에 가아제를 올려놓고 손으로 직접 누르면 된다. 이때 상처부위를 심장 높이 보다 높이 올려주면 더욱 좋다. 1분 정도 지난 후 가제를 떼고 피가 나는지 확인하여 계속 나는 경우에는 몇 분 더 압박을 가하면 된다. 상처부위를 얼음찜질 하거나 끈으로 묶는 것은 좋지 않다.

피가 멎지 않는 때나 피가 멎은 후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혹시 심하게 베어서 피부의 일부가 떨어진 때는 병원에 갈 때에 떨어진 부분을 식염수로 적신 가제로 싸서 가지고 가는 것이 좋다.

삐거나 부려졌다고 생각될 때

팔다리나 손발 등이 부어오르고 통증이 심할때 얼마나 다쳤는지 확인하려고 여기저기 만져보거나 꺽어보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다친 부위가 움직여지지 않게 조심해서 의복이나 반지, 시계 등을 제거하고 주위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나무판자나 골판지, 책 등을 찾아 다친 부위 옆에 길게 대고 위, 아래를 천이나 붕대 등으로 묶어 고정한다. 이는 다친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며 특히 다리나 발을 다친 경우 절대로 혼자 걷게 하면 안된다. 병원에서 방사선 검사로 확인하기 전에는 삐었다고 생각하고 침을 맞게 하는 것도 옳지 않은 행동이다.

[도움말:정연권 성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