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부쩍 기분이 우울하고 공연히 서글퍼지는 자신을 발견하면서 삶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는 때가 많아지는 것 같다.

하고픈 말, 쓰고 싶은 말들이 너무도 많은 것 같은데 원고지 첫 줄을 시작하기가 그렇게 어려운 것이 보통 애를 먹이는 게 아니다.

그래서 문우(文友)들이 입버릇처럼 "글을 쓸 때면 마치 아이를 낳는 산모의 고통을 느끼는 것 같다"라는 말의 의미를 새삼 실감하게 되는 것 같다.

글을 쓰는 것이 왜 이렇게 어려운 것일까?

생각했던 일들을 글로 옮기는 것뿐인데 마치 해산의 고통을 겪는 것과 같이 이렇게 힘들다는 표현을 쓰는 연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혼신을 다해 심중에 있는 말들을 쏟아 놓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까닭에 글을 쓸 때면 종종 두통을 느끼며 마음까지 아플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어떤 분은 글을 쓴지가 십수년이 지난 요즘에도 쓸수록 어려워진다고 심경을 털어놓기도 한다.

이제 필자의 경우도 펜을 잡은지 십수년이 넘었건만 점점 글쓰기가 힘들어지며 자기 감정에 빠져 흥분하기도 하고 슬퍼하기도 하며, 때로는 넋나간 사람처럼 허공을 바라보며 상념에 젖기도 한다.

이와 함께 더욱 필자를 번민하게 만드는 것이 글에 대한 내용과 필자의 삶이 일치하지 않을 때가 많다는 것이다.

아무리 글의 자유가 있다고 하지만 독자, 또는 당사자를 의식해 마음속에 있는 말을 다 글로 옮길 수 없다는 사실에서 솔직하지 못한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과 회의감을 느끼는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결국 그럴듯하게 써놓은 글과 자신의 삶 속에 비치는 행함과 인격이 일치하지 않는 답답함으로 처참하게 부서져 버리는 심정은 서글퍼지기까지 한다.

그러면서도 필자는 펜을 놓기가 싫다. 많은 이들에게 그나마도 부족한 글을 통해 인간애를 잃지 않게 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힘이 들고 잠이 부족해도 글쓰기를 회피하지 않고 감사하며 어떤 글로 표현을 해야 읽는 이들로 하여금 편안한 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할까 고민을 하게 된다.

아무리 글이라지만 자신을 드러내는 것은 시원한 일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두려운 일이기도 하다.

누구나 숨겨둔 상처가 있기에 나름대로 그것을 치유하고 자기 것으로 삭이면서도 겉으로 드러나는 자기를 만들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는 더더욱 그런 감정이 든다.

자신의 마음을 드러냈다는 것은 어찌보면 자기 반성이고 성찰이다.

화가가 자신의 얼굴을 그리거나 조각한다는 것도 어찌보면 자신에 대한 처절한 반성일 수도 있다.

그래서 자화상엔 작가들의 치열한 고뇌와 불같은 열정 등 작가의 은밀한 내면과 함께 작가가 속한 한 시대의 풍경까지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느낌을 주는 것이다.

그렇게 많은 날들은 아니지만 근 일년 넘게 칼럼을 쓰다보니 만가지 생각들이 스치고 지나간다.

나름대로 진통을 겪으면서 쓴 글과 마지막 한 줄이 안써져 긴 시간을 안절부절하며 썼다 지웠다를 반복할 때면 심한 두통을 느끼며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만 하나라는 생각에 빠질 때도 있다.

여전히 글을 쓰지만 늘 고독과 소외와 절망의 그림자가 내 곁을 떠나지 않는 현설에서 허무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그 같은 고통속에서도 잊혀지지 않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펜을 잡아 원고지를 메꾸는 작업을 할 것이며, 이 세상에 살아있음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또 다른 아침을 맞이할 것이다.

논설위원 안호원 (한국 심성교육개발연구원장. 서울정보기능대학겸임교수. 시인)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