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이 제약산업과 기업 성장의 바로미터이다.

제약업체들은 신약개발이 다른 산업 분야와 달리 장기간의 연구경험과 축적된 기술로 성공이 가능하고, 전주기 연구개발과정에서 수백, 수천 번의 쓰라린 실패경험이 밑바탕이 된다는 사실을 이미 체득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신약개발은 글로벌 바이오파마와는 비교도 안 되는 규모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연구개발 임상에 투자할 수 있는 임계 연구개발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업의 수익성 개선을 통한 단기/중기투자 재원 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다.

우리나라 바이오헬스산업계의 주요 5개 제약기업/바이오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은 평균 16.7%로서 전 세계 신약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5개 글로벌 바이오파의 R&D 투자 비중 평균 15.7%보다 높다.

그러나 매출액 규모에서 2018년 주요 5개 다국적 제약회사가 평균 64조 7825억 원인 반면 국내 주요 5개 제약기업/바이오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1조 641억 원으로서 주요 글로벌 바이오파마의 1.6% 수준에 불과했다.

열악한 국내 제약산업 환경에 바이오혁신 전략, 제약산업 육성 종합계획등 정부의 제약바이오 육성 정책과 상반되는 제도를 복지부에서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7월 행정예고한 ‘제네릭 약가제도 개편안’에 개량신약 복합제의 약가우대를 폐지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개량신약은 신약개발 역량이 부족한 국내 제약기업이 신약을 만들기 위해 나아가는 중간단계로, 신약보다 성공확률이 높은 반면, 개발비용과 개발기간이 짧아 해외에서도 중점적으로 키우고 있는 뉴 비즈니스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보건복지위원회 오제세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번 조치는 합성의약품과 생물의약품의 가산기간을 통일조정하기 위한 제도의 단순화로 인해 제약바이오산업의 육성발판을 잃을 것”이라며 “바이오혁신 전략, 제약산업 육성 종합계획 등과 상반되는 개량신약 약가제도 시행을 재검토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복지부는 제약업계의 의지를 꺾는 개량신약 약가제도 시행을 재검토하고 일관된 정책 추진이 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