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과 의료기기 업계의 마케팅이 점차 불공정 행위에서 벗어나 제품 설명회 등으로 투명하게 변모하고 있다.

하지만, 학술대회 지원, 기부금, 제품설명회, 강연료 등 의료인에게 비용을 지원하는 경제적 이익 제공이 증가하지만 이를 신고하지 않는 업체도 많아 투명성 제고가 필요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이 분석한 제약, 의료기기 업계의 ‘2015-2018 공정경쟁규약에 따른 경제적 이익 제공 현황’을 보면 리베이트 적발 건수 및 금액은 제약 업계는 감소하는 반면 의료기기 업계는 증가했다.

불법리베이트 적발은 제약업계가 2016년 96건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8년 27건으로 감소했다.

반면, 의료기기 업계의 경우 2016년 8건에서 2018년 16건으로 증가했다.

리베이트 금액은 제약업계가 2016년 220억원으로 최고치에 도달 한 후 2018년 37억원으로 급감했다.

의료기기 업계는 2016년 8억원에서 2017년 228억원, 2018년 128억원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경제적 이익 제공은 제약·의료기기업계 모두 증가했다.

제약업계의 경우, 2015년 1979억원(83,962건)에서 2018년 3107억원(123,962건)으로 지난 4년 간 꾸준히 증가했다.

의료기기업계의 경우, 2015년 177억원(1802건)에서 2018년 249억원(2,594건)으로 증가했다.

경제적 이익 제공으로 제약업계의 경우, 제품설명회(3630억원), 전시광고(2759억원), 기부금(2455억원) 순이었고, 의료기기업계의 경우, 제품설명회(545억원), 학술대회(232억원), 기부금(29억원) 순으로 많았다.

하지만 매출 100대 기업 중에서 경제적 이익 제공 금액을 신고조차 하지 않은 기업이 13곳이나 됐다.

리베이트를 근절하고 공정경쟁 환경을 유도하고 있지만 아직 주요 완전한 정착을 하지 못하고 있다.

공정경쟁으로 제약과 의료기기 산업의 신뢰도와 투명성 제고를 위해서 경제적 이익 제공 보고 정책에 업체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