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 빅데이터 분석결과···버즈량 405% 증가

두타스테리드 제제를 대표하는 아보다트가 출시 10주년 동안 꾸준히 처방되고 있는 힘은 효과와 내약성, 비용을 꼽았다.

아보다트는 다수의 임상을 통해 피나스테리드 대비 M자형 탈모 개선과 모발 수 및 굵기 개선 등에 우수한 효과를 확인했으며 1캡슐당 709원이라는 약가를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라고 제시했다.

GSK는 20일 ‘한국인의 탈모, 그리고 아보다트의 10년’이라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10년간의 탈모 빅데이터 분석결과와 한국인 대상 주요 임상 결가 및 가치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아보다트는 두타스테리드 제제의 오리지널 남성형 탈모 치료제로 2009년 국내에서 최초로 남성형 탈모 치료에 적응증을 추가하고 올해로 10년 동안 처방되고 있다.

먼저 10년간 국내 탈모에 대한 인식변화와 아보다트의 역할을 확인하기위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링크브릭스 김상규 대표가 탈모 인식이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빅데이터 전문 기업 링크브릭스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의 탈모 커뮤니티, 주요 포털(네이버, 구글), 소셜미디어(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빅데이터를 취합·분석을 진행했다.

총 162만 건의 데이터가 취합됐으며 데이터 수집 키워드는 탈모, 아보다트, 두타스테리드, 프로페시아, 피나스테리드 등이 해당됐다.

링크브릭스 김상규 대표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탈모 관련 버즈량은 405% 크게 증가했다”며 “이는 동기 대비 15%p 증가한 인터넷 이용률 수치를 감안하더라도 폭발적으로 성장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탈모 관련 주요 키워드를 살펴보면 과거 5년 대비 최근 5년에서 M자형 탈모 등 구체적인 탈모 유형을 나타내는 키워드들의 버즈량이 크게 상승했고, 비용에 관한 비중도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대표는 “지난 10년간 소비자들의 탈모 치료에 대한 이해와 지식 그리고 비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10년간 일관되게 먹는약 비중이 꾸준하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최지웅 교수.
아주대병원 피부과 최지웅 교수는 국내 탈모 치료 적응증 허가 기반이 된 한국인 대상 3상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10년 동안 처방된 아보다트의 임상적 효과와 가치를 공유했다.

아보다트는 18세에서 49세의 한국인 남성형 탈모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위약과 유효성, 안전성 및 내약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 6개월째 모발 개수 개선 평가에서 12.2㎠증가한 모발수를 보이며 위약(4.7㎠) 대비 유의하게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최지웅 교수는 “환자 자체평가와 조사자 및 패널 사진 평가에서도 위약군 대비 유의하게 높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우리나라 남성 탈모환자의 82.2%가 M타입"이라며 "글로벌 임상3상 연구결과, 아보다트는 정수리 탈모뿐 아니라 M자형 탈모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이상반응 발생에서 두 그룹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기능 관련 이상반응 발생 역시 두타스테리드 복용군 73명중 3명(4.1%) 위약 복용군 75명 중 2명(2.7%)으로 나타나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최 교수는 “아보다트는 한국인 대상 임상뿐만 아니라 다국적 임상을 통해 대조군 대비 M자형 탈모와 모발 수 및 굵기 개선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효과와 내약성을 나타냈다”며 “이는 10년간의 임상 경험을 통해서도 일관성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더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